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파이코인, 기술적 반등 가능성에도 하락 리스크 지속…공급량 증가와 거래소 상장 불확실성 부담

작성자 이미지
이도현 기자
0
2

파이코인(PI)은 최근 17% 하락하며 기술적 지표상 반등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토큰 언락과 공급 증가, 주요 거래소 상장 지연 등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한다. PI는 여전히 지역 기반 결제 시스템과 생태계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나, 커뮤니티의 투명성 요구와 글로벌 채택 한계가 가격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파이코인, 기술적 반등 가능성에도 하락 리스크 지속…공급량 증가와 거래소 상장 불확실성 부담 / 셔터스톡

기술적 반등 신호와 하락 리스크 공존

파이코인(PI)은 지난 24시간 동안 약 17% 하락하며 현재 0.614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최근 한 달간 약 55%의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2025년 2월 오픈 메인넷 출시 이후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최고가였던 3달러 이상 대비 현재 가격은 약 80% 하락한 상태이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PI 코인은 상대강도지수(RSI)가 28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급반등이 발생하기 전 나타나는 지표 중 하나이다. 시장 분석가들은 매수세가 유입될 경우 단기적으로 0.73달러, 더 나아가 1달러 수준까지 반등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신호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는 부정적이다. 자금 조달 금리가 음수인 상황에서 토큰 공급량 증가는 투자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최대 52~55% 추가 하락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토큰 언락 스케줄이 가격에 압박

2025년 4월 16일 기준, 총 280만 개의 파이코인(PI)이 새롭게 유통 시장에 풀렸다. 이는 향후 12개월 간 15억 개 이상이 점진적으로 언락될 커다란 일정의 일환이다. 현재 유통 중인 파이코인 수량은 약 68억 8천만 개(6,880,758,128개)로 확대됐다.

업계 분석가들은 공급량 증가가 수요를 초과하면 필연적으로 토큰 가치 희석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한다. 특히 파이코인의 총 공급량 중 67억 개 이상이 코어 팀에 의해 통제되고 있어 중앙화에 대한 논란과 함께 시장 조작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사용 확대와 생태계 성장은 진행형

파이코인의 오픈 메인넷은 2025년 2월에 가동되었으며, 이후 Gate.io, OKX, Bitget, MEXC 등의 주요 거래소에 상장됐다. 그러나 아직까지 바이낸스나 코인베이스와 같은 글로벌 대표 거래소에는 상장되지 않았다.

PI는 커뮤니티 기반 시장이나 KYC 인증된 파이 앱에서 지역 기반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2025년 열린 파이페스트(PiFest)에선 약 180만 명의 이용자가 5만 8천여 개의 가맹점과 거래에 참여했다. 다만 이 같은 사용 사례는 특정 커뮤니티에 국한돼 있으며, 글로벌 주류 채택은 여전히 제한적이다.

파이코인 생태계에는 100개 이상의 파이 앱이 개발됐으며, DeFi와 탈중앙화 거래소(DEX), NFT 플랫폼과의 연동도 진행 중이다. 프로젝트 로드맵 상으로는 궁극적으로 광범위한 가맹점 수용과 완전한 P2P 탈중앙화 마켓플레이스 구축을 목표로 한다.

투명성 요구 커지는 커뮤니티

최근 만트라(OM) 프로젝트가 90% 폭락하며 커뮤니티 내에서 파이코인의 투명성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특히 거래소 상장 지연 이유로 투명성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바이낸스 및 코인베이스가 PI 상장을 미루는 이유는 탈중앙화 수준과 감사 가능한 메인넷 데이터 부족 때문이다.

실제로 200만 명 이상의 유저가 상장 요청에 투표했지만, 이들 최상위 거래소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와 일부 전문가들은 프로젝트에 보다 명확한 토큰 재분배 계획 수립과 토큰 소각 메커니즘 도입을 요구하며, 이것이 향후 투자자 신뢰 회복과 가격 반등의 핵심 열쇠라고 주장한다.

가격 전망 및 향후 과제

가격 전망은 분석 기관마다 차이가 있다. 코인코덱스(CoinCodex)는 단기 목표로 2025년 5월 16일까지 1.95달러를 예상했으며,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최대 15달러 상승 가능성도 제시했다. 크립토뉴스(Crypto.News)는 2025년 안에 1.50~3.50달러, 2026년엔 4~6달러, 2027년까지는 7~10달러를 전망했다.

코인게이프(CoinGape)는 투명성 개선과 주요 거래소 상장이 이루어질 경우 최대 3달러까지의 상승 여력을 예상했다.

분석가들은 파이코인의 미래 가격 흐름은 다음 세 가지 조건에 달려 있다고 지적한다: ▲바이낸스 및 코인베이스 등 주요 거래소 상장 확보, ▲프로젝트의 전반적 투명성 제고, ▲실제 이용 증가 및 생태계 확장. 이와 같은 과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장기적인 가격 정체 또는 하락 압력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JOON0531

04:35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