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신고 대상 고위 공직자들의 가상자산 보유 현황을 공개했다. 27일(현지시간) 발표에 따르면, 공직자들의 평균 보유액은 3,510만 원(약 2만 4,000달러)이며, 20% 이상(411명)이 총 144억 원(약 9,800만 달러) 상당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혜영 서울시의원이 17억 6,000만 원(약 120만 달러)으로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고된 가상자산에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도지코인(DOGE), 루나 클래식(LUNC) 등이 포함됐다.
이번 가상자산 공개는 공직자 자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다. 2023년 한국 정부는 공직자에게 가상자산을 다른 자산과 동일하게 신고하도록 규정했으며, 이에 따라 2024년부터 관련 법이 시행됐다. 또한,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2024년 6월부터 공직자의 가상자산 신고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번 조치는 앞서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 불거진 이후 강화된 것이다. 김 의원은 약 450만 달러(약 60억 원) 상당의 가상자산을 매각하고 신고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았으며, 논란 속에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 법원은 당시 가상자산이 신고 대상이 아니었다는 점을 고려해 무죄를 선고했다.
이번 발표는 정부의 공직자 재산 투명성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와 공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