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리서치(Tiger Research)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블록체인 프로젝트 SOON의 Decoupled SVM 기술과 커뮤니티 중심 토크노믹스를 분석하며, 해당 프로젝트가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을 조명했다.
SOON은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벤처캐피털(VC)과 주요 기관에 토큰을 선배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전체 토큰의 51%를 커뮤니티에 직접 할당하는 구조를 채택했다. 이와 함께, 일반 참여자들에게도 NFT 판매 기회를 제공하며 보다 공정한 분배 방식을 실현했다. 이는 Solana(솔라나), Polkadot(폴카닷) 등 탈중앙화 철학을 지지하는 프로젝트들의 접근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델이라 평가된다. 타이거리서치는 이러한 방식이 커뮤니티 기반의 성장 전략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분석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SOON의 혁신이 돋보인다. 기존 Solana 가상머신(SVM)이 솔라나의 합의 계층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던 반면, SOON은 이를 분리해 이더리움을 포함한 다양한 레이어1(L1)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50밀리초의 블록타임과 초당 30,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했다. 또한, SOON Stack을 통해 다른 L1 블록체인들이 자체 SVM 기반의 레이어2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InterSOON 기술을 활용해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강화했다. 이는 단순한 성능 향상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 간 연결성을 높이는 중요한 방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와 더불어 SOON은 AI 및 탈중앙화 인프라(DePIN) 프로젝트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AI 응용 프로그램을 고려한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AI 에이전트 기반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주요 파트너십으로는 Aethir, Bonk, EigenLayer 등이 있으며, 해당 프로젝트들과 협력해 지속적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SOON 프로젝트의 향후 성공 여부는 SOON Stack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의 증가와 커뮤니티 참여 유지 능력에 달려있다. 블록체인 생태계는 빠르게 변화하며, 커뮤니티 기반 모델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지에 대한 판단은 앞으로의 실적과 성장 동력을 통해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타이거리서치는 SOON이 단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넘어 탈중앙화 네트워크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