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중국 AI '딥시크', 오픈소스 혁명 촉발… 美 규제 논란 가속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09 (일) 07:35

대화 이미지 2
하트 이미지 2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가 중앙 집중형 AI와 경쟁할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 정치권에서는 중국산 AI의 보안 위협을 우려하며 규제 논의를 가속화하고 있다. AI 생태계와 기술 패권 경쟁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중국 AI '딥시크', 오픈소스 혁명 촉발… 美 규제 논란 가속 / Tokenpost

딥시크(DeepSeek)가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모델로서 중앙 집중형 AI 시스템과 경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오픈텐서(OpenTensor) 재단 공동 창립자인 알라 샤바나(Dr. Ala Shaabana)는 2022년 이후 오픈소스 AI의 발전 속도가 중앙 집중형 AI를 빠르게 따라잡고 있으며, 딥시크의 등장이 이를 명확히 보여준 사례라고 밝혔다. 그는 “딥시크는 기존 AI 모델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달성했다”며 “이 모델은 효율성과 집단 지능, 혁신이 막대한 자본력과 맞설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학계의 변화가 오픈소스 AI 개발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연구자들이 학술지에 논문을 제출할 때 코드 공개를 요구받으면서 오픈소스 접근법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규제 환경 변화도 오픈소스 AI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샤바나는 “중앙 집중형 AI 시스템은 점점 더 강력한 규제와 지역별 데이터 통제 등으로 인해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반면 오픈소스 AI는 이러한 제한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중앙 집중형 시스템과의 격차가 더욱 좁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중국에서 개발된 딥시크는 미국 정치권에도 파장을 일으켰다. 모델이 공개된 이후 AI 산업에 대한 규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이를 ‘블랙 스완’ 사건으로 평가하며 국가 안보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

조시 홀리(Josh Hawley) 미국 상원의원은 지난 1월 29일 중국산 AI 제품의 미국 수입을 금지하고, 미국에서 개발된 AI 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그는 “중국 AI 기술에 유입되는 데이터와 자금이 결국 미국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딥시크의 등장은 AI 생태계뿐만 아니라 기술 패권 경쟁에서도 중요한 변곡점이 되고 있다. 향후 중앙 집중형 AI와 오픈소스 AI 간의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lowpoke82

10:09

등급 아이콘

사계절

09:12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lowpoke82

2025.02.09 10:09:3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2.09 09:12: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