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미 크립토 차르 "BTC 준비금 타당성 연구 중"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2025.02.05 (수) 08:00

대화 이미지 3
하트 이미지 4

셔터스톡

블룸버그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 연내 IPO 검토 중"
블룸버그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ullish)의 운영사 불리시글로벌(Bullish Global)이 연내 기업공개(IPO)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는 "불리시는 잠재적인 IPO를 검토하기 위해 제프리스파이낸셜그룹과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블록원은 전 이오스(EOS) 개발사 블록원(Block.one)의 자회사로, 피터 틸, 앨런 하워드, 루이스 베이컨, 리차드 리 등이 투자한 바 있다. 현재 최고경영자(CEO)는 이오스 창시자로 알려진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가 맡고 있다. 또 불리시는 지난 2023년 디지털커런시그룹으로부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를 인수한 바 있다.

a16z "미 법무부, 디파이 프로토콜에 통제권 없는 이용자 행위 책임 물어선 안 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최대 벤처캐피털 중 한 곳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블로그를 통해 "미국 법무부는 통제 불가 잘못에 대해 디파이 프로토콜에 책임을 묻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a16z는 "이들 프로토콜은 사용자 행동에 대해 아무런 권한도 통제력도 행사하지 않는다. 때문에 이에 대한 책임을 프로토콜 측에 묻는 것은 왜곡된 결과를 초래한다. 불행히도 법무부는 이러한 사실을 무시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관련 최우선 과제는 법률 내 '통제'를 적절하고 올바르게 체계화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美 SEC 암호화폐 TF, 토큰 증권 여부 분류 최우선 작업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가 암호화폐 증권 분류 작업을 최우선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등록 방식을 전환하고 거래소 상장 상품에 따른 승인 혹 거부를 명확히 한다는 설명이다.

미 상원 은행위원장 "3개월 내 2개 주요 암호화폐 법안 상원 통과 예상"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 팀 스콧(Tim Scott)이 "2개의 주요 암호화폐 법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임기 100일 전에 상원에서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늘로부터 3개월도 남지 않은 셈이다. 그는 테네시주 상원의원 빌 해거티(Bill Hagerty)가 발의한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가장 먼저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미 SEC 위원장 직무대행, 암호화폐 TF 임원 3인 임명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직무대행 마크 우예다(Mark Uyeda)가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 담당 임원 3명에 대한 명단을 공개했다. TF 수석 고문이자 마크 우예다의 고문을 맡게된 인물은 암호화폐 연구 비영리 기관 코인센터(Coin Center) 전 정책 책임자 랜든 진다(Landon Zinda)다. 이외 2명은 SEC 내부 인사 중에서 임명됐다. SEC 크립토 TF는 암호화폐에 대한 포괄적이고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담당하게 되며, 이를 위해 의회, 산업,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S&P500: +0.72%
나스닥: +1.35%
다우: +0.30%

미 크립토 차르 "BTC 준비금 타당성 연구 중"
언폴디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및 AI 책임자(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가 "비트코인 준비금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당 작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대통령이 우리에게 지시한 것 중 하나였다"며 "현재 우리는 비트코인 준비금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립을 위해 서명한 국부펀드 내 비트코인 역할에 대한 질문에 따른 데이비드 삭스의 답변 중 나온 발언이다.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양원, 암호화폐 실무그룹 구성 예정"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장 프렌치 힐(French Hill)이 "양원 모두 암호화폐 실무그룹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도, 암호화폐 거래 수익 미신고 시 최대 70% 세금 부과 법안 추진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인도가 암호화폐 거래 수익을 기한 내 신고하지 않을 경우, 최대 70%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거래 정보를 세무 당국에 반드시 보고해야 하며, 신고 지연시 추가 세금이 부과된다. 또한, 미신고된 소득은 소득세 신고 기한으로부터 최대 48개월 이내 수정 신고할 수 있다.

美 크립토 차르 "스테이블코인 프레임워크 구축 노력 중"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및 AI 책임자(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가 기자회견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글로벌 지위를 견고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관련 규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업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규제의 명확성이었다. FTX 사태가 그러한 필요성을 보여줬다"며 "증권거래위원회(SEC) 과거 관행으로 인해 다수의 암호화폐 기업이 미국을 떠나야했다. 미래의 암호화폐 업계 혁신을 위해 더 명확한 규제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건스탠리 "미 연준 금리인하, 3월 아닌 6월 예상"
외신에 따르면 모건스탠리가 오는 3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6월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감소세가 정체돼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외신 "美 SEC 암호화폐 TF 수장, 새 규제 방향 모색"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암호화폐 태스크포스 수장으로 임명된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 위원이 암호화폐 자산의 증권 여부 평가 및 특정 토큰 발행에 대한 소급적 구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매체는 "백악관이 새롭게 출범한 태스크포스가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새로운 규제 접근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SEC 역시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들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토큰 발행에 대한 임시적·소급적 구제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해당 조건에는 △지정된 정보 제공 및 업데이트 △자산 매매 관련 사기 혐의 발생 시 SEC의 관할권에 이의 제기 않겠다고 동의하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헤스터 피어스는 공식 성명을 통해 SEC가 암호화폐 업계 종사자들의 규제 관련 피드백을 수렴하기 위해 공식 이메일 [email protected]을 개설했다고 덧붙였다.

美 CFTC, 집행 부서 개편...규제 방식 개선 추진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이 X를 통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규제 집행 관행을 개편하고, 사기 및 시장 조작 방지를 위한 자원 활용을 최적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개편에 따라 기존 집행 태스크포스는 복합 금융사기 태스크포스(Complex Fraud Task Force)와 소매 금융사기 및 일반 집행 태스크포스(Retail Fraud and General Enforcement Task Force)로 통합된다. 이번 조치는 기관의 과도한 권한 행사(overreach)를 방지하고, 규제 일관성·공정성·적법 절차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솔 스트래티지, $900만 상당 SOL 매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 소재 투자사 솔 스트래티지(SOL Strategies)가 1월 19일(현지시간)부터 31일 사이에 40,300 SOL를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단가는 246.53달러로 총 매입 규모는 990만 달러다. 솔 스트래티지는 현재 총 189,968 SOL(약 4,089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골드핀치, 프라임 풀 출시...온체인 사모 펀드 투자 기회 제공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골드핀치(GFI)가 프라임(Prime) 풀을 출시해 온체인 사모신용(private credit) 펀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a16z 크립토 및 코인베이스 벤처스 등 주요 투자자들의 지원을 받는 디파이 플랫폼이다. 신규 풀을 통해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 아레스 매니지먼트(Ares Management), 골럽 캐피탈(Golub Capital) 등 1조 달러 이상을 운용하는 사모 신용 기업들의 대출 포트폴리오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저스틴 선 "USDD, 완전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
저스틴 선 트론(TRX) 설립자가 X를 통해 "트론 DAO 리저브가 발행하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USDD는 진정한 무허가(Zero Permission), 무신뢰(Zero Trust),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이다. 일각에서는 연 20% 이자율이 너무 높다고 말하지만, 개인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는 신뢰가 필요 없는 완전한 탈중앙화 스테이블코인이 절실하다. 계정 동결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이 필요하며, 나는 오랜 기간 스테이블코인을 만들어 오면서 이 문제의 심각성을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전했다.

1월 스테이블코인 월간 활성 지갑 수 4000만개 육박
블록체인 투자 및 분석 플랫폼 크립토랭크(Cryptorank.io)가 X를 통해 "지난 1월 월간 활성 스테이블코인 지갑 수가 4000만개에 근접했다. BNB체인과 트론(TRX)이 전체 스테이블코인 지갑의 56%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폴리곤(POL)은 솔라나(SOL)와 이더리움(ETH)을 앞질렀다"고 전했다.

WSJ "트럼프-시진핑, 오늘 회담 안할 것"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정부 관계자 발언을 인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이 오늘(현지시간 4일) 대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앞서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에 통화 일정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분석 "트럼프 관세 충격에도 디파이 프로토콜은 견고"
더블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 한 후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했지만, 일부 디파이(DeFi) 프로토콜 창립자들은 이번 변동성을 긍정적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베 찬 이니셔티브(Aave Chan Initiative, ACI) 창립자 마크 젤러는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는 타 거래소와 달리 청산 발생 시 모든 포지션을 강제 종료하지 않고, 일부만 청산해 사용자 손실을 줄인다. 프로토콜의 목표는 포지션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안전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으며, 이번 시장 변동에서 그 성과를 입증했다"고 전했다. 유명 이더리움 커뮤니티 활동가 에반 반 네스(Evan Van Ness)는 "몇몇 프론트엔드 장애를 제외하면,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위기 상황에서 전통금융보다 디파이가 안정적이었다"고 평가했다.

R3 서스테이너빌리티-친타이, $7.95억 규모 토큰화 펀드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인프라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프로젝트 투자 금융 기업 R3 서스테이너빌리티(R3 Sustainability)가 실물자산(RWA) 네트워크인 친타이(Chintai)와 협력해 7억 9500만 달러 규모 RWA 토큰화 펀드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펀드는 ESG 투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친타이의 레이어 1(L1)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암호화폐 자율 AI 에이전트 플랫폼, $1380만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율(Autonomous) AI 에이전트 플랫폼 올라스(Olas)가 1380만 달러 상당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1kx의 주도 하에 타이오가캐피털(Tioga Capital), 시길펀드(Sigil Fund), 지 프라임 캐피털(Zee Prime Capital), 보더리스(Borderless), 키록(Keyrock)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에이전트 앱 스토어 출시를 위해 사용할 방침이다.

탈중앙화 게임 플랫폼 비머블, $1350만 시리즈A 투자 유치
탈중앙화 게임 인프라 플랫폼 비머블(Beamable)이 비트크래프트 벤처스(Bitkraft Ventures)가 주도한 시리즈 A 펀딩 라운드에서 1,35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금은 탈중앙 물리적 인프라(DePIN)인 비머블 네트워크 개발과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캐나다 상장사 넵튠 디지털 애셋, BTC·DOGE 매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캐나다 상장사 넵튠 디지털 애셋(Neptune Digital Assets)이 지난해 12월 27일(현지시간) 100만 DOGE를 평단가 0.37달러에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넵튠은 20 BTC(3,720만 달러)를 평단가 99,833 달러에 매수했다.

앤서니 스카라무치 "美 의회, 중간선거 전 친 암호화폐 법안 추진 가능성"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헤지펀드 스카이브릿지캐피털(SkyBridge Capital) 설립자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미국 의회가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암호화폐 산업에 유리한 법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하원과 상원의원들이 경합 지역 및 예비 선거 경쟁 과정에서 암호화폐 친화적 입법 활동을 강조하려 할 것이다. 아마도 올해 11월 휴회 전 관련 법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또한, 중간선거에서는 암호화폐 산업과 연계된 정치활동위원회(PAC)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자금력이 선거 판세에 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BTC 해시레이트, 역대 최고치"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X를 통해 "비트코인 해시레이트가 상승세를 지속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클로버풀(CloverPool, 구 비티씨닷컴) 기준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현재 828.24 EH/s를 기록하고 있다.

탭루트위자드, $3000만 시드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비트코인 오디널스 프로토콜 기반 인스크립션 프로젝트 탭루트위자드(Taproot Wizards)가 3,00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스탠다드 크립토(Standard Crypto) 주도로 진행된 이번 라운드에는 사이버펀드(Cyberfund), 콜라이더벤처스(Collider Ventures) 등이 참여했다. 조달한 투자금은 비트코인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확장 기술인 OP_CAT 생태계 발전에 사용될 예정이다.

FTX 바하마, 2/18 $5만 미만 채권 상환 시작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X를 통해 "FTX 바하마가 오는 2월 18일(현지시간)부터 5만 달러 미만 채권에 대한 상환을 게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분석 "코인베이스 사용자, 소셜 엔지니어링 공격으로 연간 $3억 손실"
코인데스크가 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잭XBT(ZachXBT)를 인용, "코인베이스 사용자는 지난 2개월 동안 소셜 엔지니어링(social engineering) 공격으로 6,500만 달러 이상 피해를 입었으며, 이러한 공격으로 매년 약 3억 달러가 손실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해커들은 탈취한 개인 데이터를 이용해 코인베이스의 공식 커뮤니케이션을 모방한 가짜 이메일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했다. 여기에는 사용자에게 허위 월렛으로 자금을 이체하도록 유도하는 사례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美 상원의원,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GE-0NIUS Act’ 발의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은 X를 통해 "미국 테네시주 상원의원 빌 해거티(Bill Hagerty)가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법안 GENIUS(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in U.S. Stablecoins) Act를 발의했다. 법안은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명확한 규제를 제공하며, 스테이블코인을 미 달러화에 고정된 디지털 자산으로 정의한다. 상원 관계자들은 이 법안이 의회의 위원회를 빠르게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일(현지시간) 예정된 행정부의 암호화폐 및 AI 책임자(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 기자회견에서 함께 논의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베라체인, 2/6 메인넷 출시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X를 통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베라체인(Berachain, BERA) 메인넷이 오는 6일(현지시간) 출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베라체인은 지난해 4월 시리즈B 라운드를 통해 1억달러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BTC 온체인상 실현손실 $13.1억...지난해 8/5 이후 최대
크립토퀀트 기고자 카우이코노미(caueconomy)가 "전날 BTC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서 온체인상 실현손실은 13.1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8월 5일 이후 최대 규모다. 이러한 카피츌레이션(대량 매도) 발생은 온체인상 매도세가 소진됐다는 신호이며, 또다시 조정이 오더라도 제한적일 수 있다. 현재 BTC 가격은 거시경제적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셈러 사이언티픽, 871 BTC 추가 매수
나스닥 상장사 의료기술업체 셈러 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나스닥 티커: SMLR)의 회장인 에릭 셈머(Eric Semler)가 “셈러 사이언티픽은 871 BTC(8850만 달러)를 추가 매수했다. 셈러 사이언티픽은 2024년 7월 1일 이후 BTC 매입을 통해 152% 미실현 수익을 기록중이며 현재 3,192 BTC를 보유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셈러 사이언티픽은 전환사채 규모를 8,500만 달러로 상향하고 일부 자금으로 비트코인 매입에 할당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1월 CME 암호화폐 일평균 거래량, 전년 동기比 180% 증가
1월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암호화폐 일평균 거래량(ADV)이 19.8만건(명목가치 136억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중 마이크로 BTC, ETH 선물 일평균 거래량은 각각 255%, 223% 증가했다.

분석 "BTC, $9만 수성이 관건"
코인텔레그래프가 복수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미국 무역 전쟁 시작으로 암호화폐 시장 심리가 악화되면서 BTC가 주요 지지선인 9만 달러를 테스트했다. 9만 달러는 지난해 11월 18일 이후부터 여러 차례 테스트를 받았던 가격대다. 이 지지선이 지켜질지 주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마이클 반 데 포페(Michaël van de Poppe)는 “BTC가 앞으로 9.3만 달러 이상을 유지할 경우 2월에 신고가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큰 상승 이후 조정은 강세장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전날 중앙화 거래소서 $10억 ETH 출금...작년 1월 이후 최대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X를 통해 “전날 중앙화 거래소(CEX)에서 35만 ETH가 출금됐다다. 약 10억 달러 상당이다. 이는 2024년 1월 이후 최대 출금액이다. 트레이더들이 ETH 하락을 틈타 매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분석 "ETH 장단기 홀더, PoS 전환 후 매수 중단"
코인텔레그래프가 "ETH/BTC 비율은 2년 전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이후 70% 하락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알프랙탈 CEO 조아오 웨드슨(Joao Wedson)은 “이더리움에게 있어 최악의 사건은 머지 업그레이드다. 장단기 ETH 홀더는 그때 이후로 매수를 중단했다. 거래소 주소, PoW 당시 채굴자, 10만 ETH 이상 보유한 펀드들조차 매수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트리바고, 트라발라와 파트너십...암호화폐 결제 지원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결제 지원 호텔, 항공 예약 사이트 트라발라(AVA)가 온라인 숙박 예약 플랫폼 트리바고(Trivago)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트리바고 사용자는 트라발라 플랫폼에서 BTC, ETH, BNB 등 100종 이상의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다.

'$2.35억 해킹 피해' 와지르X, 이르면 4월 채권자 상환 가능
지난해 7월 2.35억 달러 해킹 피해를 입은 인도 거래소 와지르X 채권단이 구조조정안에 대한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가결 시 채권자들은 오는 4월부터 상환을 받을 수 있다. 부결될 경우 청산 절차에 돌입, 2030년에나 상환이 가능해지며 와지르X 보유 자산이 더 낮은 가격에 매각돼 채권자 상환액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분석 “BTC, 미 관세전쟁에도 2017년 사이클과 유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지털자산 전문가 반 스트라텐이 “미국의 관세전쟁에도 현재 비트코인은 2017년 반감기 사이클과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2022년 11월 FTX 파산사태 이후 저점 대비 525% 상승했는데 2017년 사이클의 같은 단계에서도 비트코인은 533% 상승했었다. 또한 비트코인은 지난 2개월 반 동안 시장 변동성이 커졌음에도 9만~10.9만달러 박스권을 유지했다. 현재는 이 범위 상하단을 모두 테스트하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코인베이스, 미 당국에 "은행의 암호화폐 서비스 허용" 요청
코인베이스가 미국 통화감독청(OCC), 미연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서한을 보내 은행의 암호화폐 커스터디, 거래 서비스를 허용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또한 코인베이스 측 로펌은 별도 서한에서 기존 연방법이 은행의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 및 코인베이스 등 제3자 서비스 제공자와의 협력을 이미 허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분석 “XRP/BTC 비율, 볼린저밴드 상단 돌파 시도…상승 가능성”
코인데스크 애널리스트 옴카르 갓볼레(Omkar Godbole)는 “현재 XRP/BTC 비율이 월봉 차트에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볼린저 밴드 상단을 넘어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XRP가 큰 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XRP/BTC 비율은 2017년 4월 볼린저 밴드 상단을 돌파한 후 200% 가까이 급등했었다. 이번에도 역사가 반복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톤 재단 대표 "텔레그램 TON 외 블록체인 배제, 올바른 결정"
스티브 윤(Steve Yun) TON 재단 대표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텔레그램이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외 다른 블록체인을 배제하기로 한 것은 보안, 확장성 측면에서 올바른 결정이었다. 톤이 가진 장점은 9억 5천만 명의 텔레그램 사용자들의 네트워크 수요를 충족한다는 것이다. 또한 톤은 일각의 우려와 달리 중앙집중화돼 있지 않은 무허가형 플랫폼이며 누구에게나 개방돼 있다"고 말했다. 앞서 텔레그램은 미니앱을 포함한 메신저 서비스에서 톤 네트워크 외 다른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업비트 "하나은행 원화 입출금 계좌 제휴? 사실무근"
이코노믹에 따르면 두나무 업비트가 법인 고객 유치를 위해 하나은행과 원화 입출금 계좌 제휴를 위한 기술 연동 테스트에 나섰다는 이야기가 4일 나왔으나, 업비트는 "사실무근"이라 밝혔다. 업비트는 "업비트가 하나은행과 원화 입출금 계좌 제휴를 추진한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 강조했다.

업비트 ‘법인계좌 허용’ 채비… 하나은행과 동맹
국민일보에 따르면 업비트가 하나은행과 원화 입출금 계좌 제휴를 위한 기술 연동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거래 지원 전 단계로, 원화 예치금 이전과 이상 거래 탐지 등이 원활히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업비트가 시중은행인 하나은행과 제휴를 검토하는 건 법인 고객 유치 차원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원화 입출금을 지원하는데, 현행법상 법인은 인터넷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수 없다. 금융 당국이 이른 시일 내에 법인의 암호화폐 투자 허용과 관련해 확정된 제도를 발표하겠다고 한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한 관계자는 “양사가 오랜 기간 소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세가 변하지 않는 한 업비트가 은행 변경을 추진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도 “금융 당국이 법인의 암호화폐 계좌 개설 허용에 대해 긍정적인 뉘앙스를 풍기면서 빗썸도 법인 영업사원을 채용 중”이라고 말했다.

검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전부터 자전거래는 불법”
디지털애셋에 따르면 검찰이 4일 퀸비코인(QBZ) 사기 사건 5차 공판에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 이전(2024년 7월 19일)에도 자전거래는 불법이었다”고 밝혔다. 퀸비코인 측 변호인이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 이전엔 규제가 없었기 때문에 자전거래 등 가상자산 MM(시장조성행위)를 불법이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하자 이를 반박한 것이다. 재판부는 “MM 작업에 대해 기준이 서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양측에 다음 공판 전까지 의견서 제출을 요청했다. 다음 기일은 3월 27일 오후 2시다.

알레오 창업자 “정부기관·금융회사들이 쓸 수 있는 블록체인 제공하겠다”
디지털투데이에 따르면 지난해 메인넷을 공개한 영지식증명(Zkp)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알레오가 정부 기관 및 금융 회사들도 규제 리스크 없이 쓸 수 있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할 방침이다. 하워드 우(Howard Wu) 알레오 공동 창업자는 "현재 테크 기업들 외에 정부기관 및 금융 회사들과도 협력을 활발하게 논의 중이다. 알레오에는 기술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미국 금융 감독 기관 출신들도 다수 포진해 있다. 알레오는 규제에 민감한 조직들이 쓸 수 있는 블록체인 생태계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zkp는 새로운 기술이고 아직은 제대로 알고 연구하는 개발자들도 많지 않다. 하지만 인터넷도 처음에는 http를 쓰다 보안이 강화된 https로 간 것 처럼, 같은 현상이 크립토 시장에서도 나타날 것이다. zkp 확산을 위해서는 개발자들을 상대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 알레오도 암호학이나 수학에 대한 지식 없이 코딩으로 zkp 기반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레오(leo)에 대한 교육을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캐나다 상장사 넵튠, 비트코인·도지코인 투자

캐나다, 미국산 제품 보이콧 확산… 무역 전쟁 장기화 우려

댓글

3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WayneKIM

10:52

등급 아이콘

디스나

10:39

등급 아이콘

SSdc

10:35

등급 아이콘

토큰부자

08:36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2.05 10:39:0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Sdc

2025.02.05 10:35:0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2.05 08:36:3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