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메타위크 2022 첫날 행사인 블록체인오픈포럼에서 정상호 델리오 대표가 '웹3.0 생태계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주제로 강연했다. 다양한 데이터와 산업 채택 수준 등을 통해 웹3.0이 어디까지 와있는지 현황과 의미, 가치를 공유했다.
델리오 대표는 "웹3.0은 웹2.0 한계를 해결하고 성장을 촉진할 탁월한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웹3.0을 마케팅에 불과하다며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기존 인터넷 발전 맥락에서 봤을 때 웹3.0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웹1.0에서 웹2.0로의 전환은 기술이 발전하고 참여가 확장되는 수준이었지만, 웹3.0은 더 복잡한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웹3.0은 기업 생태계와 경제까지도 재편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델리오 대표는 "현재 웹2.0 생태계 내 많은 플랫폼과 서비스가 있지만 질적 성장, 총량적 성장은 멈춘 정체기에 와있고, 주주 자본주의와 같은 기업 형태의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면서 웹3.0 전환을 통해 이같은 문제들을 돌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웹3.0은 기업 운영자와 소유자만 이익을 누리는 주주 자본주의에서 배제됐던 생태계 참여자와 모든 생태계 구성 주체에 이익을 공유하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생태계를 기술적으로 구현할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정상호 델리오 대표 / 토큰포스트
생태계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의미 있는 웹3.0의 주요 기능으로는 개방형, 무신뢰, 무허가를 제시했다.
정 대표는 "개방형은 유튜브, 페이스북과 달리 웹3.0 프로그램은 자체 소스 코드를 공개해 다른 개발자들이 쉽게 소스를 분석하고 참여할 여지를 둔다는 것이고, 무허가는 사용자, 개발자 누구나 소비자, 주주, 거버넌스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열려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무신뢰에 대해서는 "제3가 개입하지 않는 형태의 플랫폼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는 은행, 증권사 등 중개자나 쿠팡 같은 플랫폼을 통해 판매자와 소비자가 만나게 되는데,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신뢰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이라면서 "웹3.0은 부재했던 신뢰 시스템을 기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정상호 델리오 대표 / 토큰포스트
정 대표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구현하고, 모든 생태계 참여자가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웹3.0의 기존 구조를 상술했다. 바로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의사결정체 '다오(DAO, 탈중앙자율조직)', 데이터 신뢰를 확보하는 '분산원장(데이터베이스, 블록체인)', '가상자산'이다.
그는 특히 가상자산이 "유저가 직접 경제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웹3.0의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STO, NFT, 암호화폐 세 가지로 가상자산을 분류하면서 통계와 현재 활용 수준을 볼 때 초기 단계를 넘어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BCG 통계를 인용해 가상자산은 2026년 1000조원, STO는 2030년 16조 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다는 전망을 공유하기도 했다.
또한 최근 NFT의 거래량이 크게 줄었지만 활용성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나이키, 현대카드, SM, SK, 스타벅스 등 NFT를 채택한 대형 기업들을 거론하면서 "기업이 NFT를 웹3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지속가능한 방안으로 보고 있다는 점, NFT 활용이 기존 솔루션보다 월등히 탁월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델리오는 가상자산사업자(VASP) 허가를 받은 기업 중 유일하게 암호화폐 예치, 렌딩 서비스 등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 대표는 2018년 국내 암호화폐 시장이 활성화되기 전 델리오를 설립해 관련 금융 서비스를 전개해왔다. 이후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가상자산금융협회 이사로 활동하며 산업 활성화 및 업권법 제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