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릭 "9월 6일 비콘체인 하드포크,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필수!"]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머지(PoS 전환)가 9월 10일~20일 사이로 예정되어 있지만, 비콘체인 하드포크는 9월 6일에 이뤄진다. 클라이언트 단들은 이전에 꼭 업데이트를 완료해야 한다"고 전했다.
[ETHW 개발팀 "특정 멀티시그 지갑 EIP-1559 수수료 연동 이슈, 인프라 유지 목적"]
작업증명(PoW) 기반 이더리움 토큰 ETHW 팀이 지난 몇 주간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부분에 대해 명확히 하기 위해 이더리움 커뮤니티에 공개 서한을 보냈다고 오늘 새벽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최근 ETHW 팀이 EIP-1559 기본 수수료를 채굴자 및 커뮤니티 공동 관리 멀티시그 지갑과 연동시켜 논란이 생긴 데 대해 서한은 "블록체인 인프라 유지 비용이 많이 든다. 자금은 개발, 테스트, 서버 유지비, 익스플로러나 원격호출지원(RPC) 클러스터 가동 등에 자금이 쓰이며 나머지는 채굴자들에게 공평 배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서한은 "ETHW 팀의 사명은 이더리움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PoS 전환이라는 위험에 대해 저항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전했다. 또한 "ETHW 코어 멤버는 상호간, 그리고 외부에 대해 익명을 유지하며, 공식적인 리더는 세우지 않을 것"이라며 "100% 개방적 생태계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ETHW 팀은 ▲난이도 폭탄 비활성화 ▲EIP-1559 기본 수수료, 채굴자·커뮤니티 공동 관리 멀티시그 주소로 변경 등 내용을 담은 ETHW 코어 초기 버전을 깃허브에서 출시한 바 있다.
[UBS "미연준, 2023년 중순까지 '매파적' 발언 지속"]
글로벌 투자은행(IB) UBS가 보고서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대대적으로 개선되기 전까지 미 연준은 지속적으로 매파적인(긴축) 발언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과 같은 연준 발언에 의한 시장 변동성이 오는 2023년 중순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UBS 글로벌 자산 관리(UBS Global Wealth Management)의 최고 투자 책임자인 마크 헤펠레(Mark Haefele)는 "미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100bp 더 인상할 것이다. 이에 따른 미국 경제 전반의 여파는 심각할 수준으로 크지는 않을 것이며, 인플레이션은 점점 완화될 것이다"라고 진단했다.
[미 콜로라도, 잉여 가스 이용한 BTC 불법 채굴 성행]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최소 6곳 이상 가스·석유회사가 플레어 가스(잉여 천연가스)를 이용해 비트코인을 채굴하고 있다고 비트코인닷컴이 전했다. 콜로라도 주는 잉여 천연가스를 태우는 플레어링을 금지하고 있다. 매체는 "콜로라도 가스 및 석유 규제 당국(COGCC)은 이를 알고 있으며, 현재 일부 회사들이 당국에 의해 채굴 사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세관, 가상자산 관련 2조원 규모 불법 외환거래 적발]
연합뉴스에 따르면 관세청 서울본부세관이 '가상자산 관련 불법 외환거래 기획조사'를 실시해 불법 외환거래를 적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세관은 지난해 대대적인 단속에도 가상자산과 연계된 불법 외환거래가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 지난 2월부터 세관의 자체 정보와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외환자료를 바탕으로 기획조사에 착수해 약 2조715억원 규모의 불법 외환거래를 적발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는 국내에 7곳의 유령회사를 화장품을 수입하는 것처럼 송장을 꾸민 뒤 수입 무역대금으로 위장한 자금을 해외로 송금했다. 이 자금으로 해외 거래소에서 가상자산을 매수하고 이를 국내 거래소에서 매도했다. A씨는 이런 식으로 5천억원 상당을 1천116회에 걸쳐 송금한 뒤 약 50억원의 시세 차익을 거뒀다.
[JP모건 수석 애널리스트 "비트코인·대형 기술주에서 돈 빼라"]
JP모건의 글로벌 수석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켈리가 "단기 방향성을 찾기보다, 장기적인 가치투자가 유효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피해야 할 투자 자산으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대형 기술주를 꼽았다. 그는 이와 관련해 "현재 경제 상황을 보면 한 발은 경기 침체에 빠졌고, 다른 한 발은 바나나 껍질을 밟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가장 유효한 포지셔닝은 가치투자다. 주가수익비율이 낮은 미국 주식과 글로벌 가치주 비중을 높이고, 반대로 대형 기술주와 비트코인에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추가 변동성이 있겠지만, 내년 말 경제는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일본 거주자 대상 DOT 거래·보관 서비스 지원]
코인베이스가 일본 거주자 대상 폴카닷(DOT) 거래, 전송, 보관 등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용자들은 코인베이스닷컴 및 코인베이스 모바일 앱에서 해당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출금 중단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호들넛, 임시 사법 관리 체제로 전환]
자금난을 겪고 있는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호들넛이 출금 동결 3주 만에 임시 사법 관리 체제로 전환됐다. 임시 사법관리는 채권자 권익을 위해 진행되는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제3자의 법적 절차로부터 기업의 사업, 재산, 자산 등을 법적으로 보호하는 제도다. 이에 따라 법원은 채권자들이 지명한 회계법인 언스트영의 기업 고문 등 2명을 호들넛의 임시 사법 관리자로 지정했다.
[일본, CBDC 발행 가속화..업무 인력 대폭 증원]
복수의 일본 현지미디어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 프로젝트 추진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최근 공개된 문건에 따르면 일본 재무성은 CBDC 발행 프로젝트 팀 인력을 큰 폭으로 늘렸다. 동시에 내년 예산안에 CBDC 관련 예산을 추가 편성, 2년 연속 예산을 늘렸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일본 정부가 점점 더 CBDC 발행을 중점 업무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블록체인 게임 히어로캣, 소프트러그풀 정황...HCK 94% 급락]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가 블록체인 게임 히어로캣(HeroCat)의 소프트러그풀이 의심되는 정황을 포착했다. 펙실드는 트위터를 통해 "히어로캣 자체 토큰 HCK가 94% 급락했다"며 "'0x6e4'로 시작되는 주소가 토큰을 덤핑했으며 15.1만 BUSD를 신규 주소로 이체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