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기술과 함께 AI 섹터에 진입한 ICP, 웹3 시장에 어떤 새로운 놀라움을 선사할 것인가?
Klein Labs
2025.02.05 19:42:10
안녕하세요, Klein Labs 입니다.
이번 리서치에서는 혁신 기술과 함께 AI 섹터에 진입한 ICP, 웹3 시장에 어떤 새로운 놀라움을 선사할 것인가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1. ICP의 배경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1.2 토큰 이코노믹스
1.3 데이터 개요
1.4 기술 아키텍처
1.5 경쟁 구도
1.6 초기 가치 평가
2. ICP의 생태계
2.1 DeAI 분야
2.2 DeFi 분야
2.3 Social 분야
2.4 체인 융합(Chain Fusion)
2.5 생태계 구축 방안
3. 주요 포인트 요약
1. ICP의 배경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1.1.1 서론
ICP(Internet Computer)를 언급하면, 많은 이들은 초기 상장 당시 가격 조작 사건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은 이후 ICP의 기술적 위협에 대한 일부 암호화폐 세력의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ICP의 핵심 기술은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지위를 위협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일부 이해관계자들이 가격 조작을 통해 프로젝트를 억압하려 했다는 분석입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현재, ICP는 많은 이들의 예상과 달리 한 단계 도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히려 ICP의 생태계는 활기를 띠고 있으며, TPS(초당 거래 처리량)는 여전히 다른 공공 블록체인들이 따라잡기 어려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래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ICP의 실시간 TPS는 Solana의 6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확연히 앞서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에서 가장 빠른 블록체인으로 자리 잡은 ICP는 어떤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많은 지지자들의 신뢰를 얻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ICP의 전반적인 모습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합니다.
1.1.2 설립 배경 및 팀 구성
프로젝트 설립 배경
ICP(Internet Computer)는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블록체인으로, 기존의 어떠한 블록체인 기술도 공유하지 않습니다. ICP의 암호학적 기반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암호학자들로 구성된 대규모 팀에 의해 특별히 개발되었습니다. ICP를 이해하려면 기존의 사고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ICP는 금융 애플리케이션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분산형 AWS와 유사한 기반 인프라로 설계되었습니다.
ICP는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비영리 기관인 DFINITY 재단(Dfinity Foundation)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DFINITY”는 Decentralized Infinity(무한한 탈중앙화)를 의미하며, 무한히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비전을 상징합니다. DFINITY는 2021년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화제 중 하나였으며, 2018년에만 2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DFINITY는 a16z(Andreessen Horowitz)가 투자한 첫 번째 암호화폐 프로젝트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 주요 투자자로는 Polychain Capital, IOSG Ventures, Multicoin Capital 등이 있습니다.
DFINITY는 ICP의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글로벌 컴퓨터(Global Computer)”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 대규모 게임, 기업 시스템 등을 완전히 블록체인에서 운영하고 중앙화 기술(예: Google, Amazon, Meta와 같은 대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을 대체하고자 합니다.
DFINITY 재단은 프로젝트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로 구성된 대규모 연구개발(R&D) 팀을 조직했습니다. 팀 구성은 다음과 같이 주요 역할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Dominic Williams: DFINITY 재단의 창립자이자 회장, 최고 과학자(Chief Scientist). 2015년에 DFINITY를 설립하였으며, 기술 기업가와 이론가로서 분산 시스템과 암호 이론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습니다. 그는 ICP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이은 블록체인 세계의 세 번째 혁명”으로 정의하며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습니다.
Josh Drake: DFINITY 재단의 최고 운영 책임자(Chief Operating Officer). Coinbase에서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DFINITY의 운영 및 관리 전반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Jan Camenisch: DFINITY 재단의 최고 기술 책임자(Chief Technology Officer). 암호학 및 프라이버시 분야의 선구자로, 12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IBM에서 19년간 수석 연구원으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ICP의 기술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연구개발을 이끌고 있습니다.
Samuel Burri: DFINITY의 엔지니어링 부사장. 글로벌 팀을 이끌며 쉰들러 엘리베이터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유지보수한 경험을 바탕으로 ICP의 엔지니어링 팀을 이끌고 있습니다.
Pierre Samaties: DFINITY의 최고 비즈니스 책임자(Chief Business Officer). Roland Berger의 글로벌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부문 파트너를 역임했으며, Web3와 Metaverse를 포함한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시간 | 내용 |
2016.10 | DFINITY 재단 설립 |
2017-2018 | A16Z 및 Polychain Capital의 주도로 총 2억 달러의 자금 조달 |
2019-2020 | 테스트넷 버전 연속 출시 |
2021.1 | 20년 로드맵 발표 |
2021.5 | 메인넷 출시 및 ICP 토큰 발행. 출시 직후 가격 조작으로 인해 급락, ICP 생태계에 대한 공격 발생 |
2023.4 | Internet Computer Hub 설립 계획 발표, 홍콩 사이버포트 입주 및 ICP 아시아 연합(ICP Asia Alliance) 설립 |
2024.5 | 최신 로드맵 공개, 컴퓨팅 플랫폼, 탈중앙 AI, Chain Fusion, 개인정보 보호 등 9대 분야에 초점 |
2024.6 | ICP Hub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2024 발표, ICP 커뮤니티 기술 발전 촉진 |
2024.8 | ICP 생태계 프로젝트 DecideAI, GPT-2 LLM을 ICP 체인에 완전 배포 및 온체인 추론 기능 구현 |
1.2 토큰 경제학
ICP의 토큰 경제 모델은 기존의 많은 토큰 경제 모델과는 차별화된 독특한 경제 메커니즘으로 운영됩니다. ICP(네이티브 토큰)는 총량 상한이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유통 공급량과 스테이킹된 부분으로 구성된 공급량 개념을 중심으로 균형을 유지합니다. ICP의 실시간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ICP의 소각 및 신규 발행입니다. 2024년 11월 22일 기준, ICP의 총 공급량은 5억 2,500만 개이며, 이 중 미해제된 부분은 38.4%를 차지합니다.
ICP의 토큰 구성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기 전에, 신경망 기반의 거버넌스 메커니즘(Neuron Governance Mechanism)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1.2.1 신경망 거버넌스 메커니즘
ICP의 체인상 거버넌스 DAO 조직인 Network Nervous System(NNS)에서는 누구나 ICP를 스테이킹하여 Neuron(신경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하거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만약 ICP가 거대한 분산형 컴퓨터 네트워크로 비유된다면, 데이터 센터와 노드는 이 네트워크를 실행하는 하드웨어 시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NNS는 이 네트워크의 관리자 역할을 합니다. NNS는 제안을 통해 ICP 네트워크의 작동 메커니즘과 생태계 내 이익 분배 등 주요 사항을 결정합니다.
Neuron 보유자는 스테이킹된 ICP 토큰의 수량과 잠금 기간(최대 8년)에 따라 비례적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안이 통과되면 Neuron은 “성숙도(Maturity)”를 축적하게 되며,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새로운 Neuron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Neuron에는 기존 Neuron의 ICP 수량 × 성숙도 만큼의 ICP가 잠기게 됩니다.
Neuron 보상은 주로 ICP의 신규 발행에서 비롯되며, 첫해의 발행량은 총 공급량의 10%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행율은 2차 함수 형태로 감소합니다. 발행율은 8년 후 5%로 안정되며, 현재 발행 비율은 6.59%입니다.
Neuron 보유자는 두 가지 선택지를 가질 수 있습니다. 첫째, 합병(Merge)을 통해 새로운 Neuron의 보상을 기존 Neuron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복리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지급(Disburse) 옵션을 통해 새로운 Neuron을 ICP로 전환하여 현금화하거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모든 투표 결정에 참여할 시간이나 지식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euron 보유자는 자신의 투표 권한을 신뢰할 수 있는 다른 Neuron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투표 권한 위임 방식은 유동 민주주의(Liquid Democracy)라고 불립니다.
Neuron 생성을 위해 ICP를 스테이킹할 때, “해제 지연(Dissolve Delay)”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정기 예금의 기간 설정과 유사합니다. 이 해제 지연 기간은 되돌릴 수 없으며, 설정된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는 해제를 통해서만 줄일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사용자가 해제를 시작하면 Neuron은 해제 상태에 들어가며, 사전에 설정된 “해제 지연” 기간 동안 해제가 완료됩니다.
“해제 지연”은 Neuron의 투표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최소 6개월 이상의 해제 지연을 설정해야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8년으로 설정하면 투표권이 2배로 증가합니다. 이러한 8년 설정은 ICP 커뮤니티 내에서 “8 Years Gang”이라는 독특한 커뮤니티 문화를 탄생시켰으며, 이는 ICP 생태계의 장기 보유자들이 가진 신념과 헌신을 잘 보여줍니다.
1.2.2 ICP의 소각
아래 그림은 ICP의 총 소각량을 보여줍니다. 메인넷 출시 이후 현재까지 소각된 ICP의 수량은 총 432,471개입니다. 이는 아래 세 가지 주요 소각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1.ICP 전송 수수료
ICP 전송 또는 거래 승인을 위한 수수료는 건당 0.0001 ICP입니다. 지금까지 거래로 인해 소각된 ICP는 총 1,477개입니다.
2.거부된 제안의 수수료
제안을 발의하려면 1 ICP의 수수료가 필요하며, 제안이 수락되면 이 수수료는 반환됩니다. 그러나 제안이 거부되면 10 ICP가 소각됩니다. ICP Dashboard 데이터에 따르면 지금까지 거부된 제안은 678건으로, 이에 따른 ICP 소각량은 총 6,780개입니다(일부는 아직 소각되지 않았으나, 추후 반드시 소각될 예정입니다).
3.네트워크 소모
ICP 네트워크에서 dApp 및 스마트 계약 개발자는 계산 및 저장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Cycles(ICP의 가스비와 유사)를 사용해야 하며, Cycles는 ICP를 소각하여 교환할 수 있습니다(교환은 되돌릴 수 없음). 이전 데이터에 따르면, 11월 15일 기준 Cycles로 인해 소각된 ICP는 총 42만 개로, 전체 소각량의 97%를 차지합니다. 이는 Cycles로의 전환이 ICP 소각의 주요 원천임을 보여줍니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9월 9일 이후 ICP 소각이 도약적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 대부분의 소각은 DeFi 프로젝트 Sonic(ICP의 첫 DEX, Gas-Free AMM)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Sonic은 ICP를 Cycles로 소각 교환하여 XTC(Cycles Token)로 변환하는 스왑(Swap) 방식을 제공합니다. 수요의 증가로 Sonic에서 XTC로 교환된 모든 ICP가 소각되었습니다.
1.2.3 ICP의 인플레이션
ICP의 인플레이션은 두 가지 주요 경로에서 발생합니다.
-
노드 제공자 보상
11월 15일 기준, 노드 제공자에게 지급된 보상은 총 1,300만 ICP입니다. 다른 많은 퍼블릭 체인의 노드 보상 모델과 달리, 2022년 3월 이전까지 ICP 노드 보상은 법정 화폐 가치를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즉, 매달 지급되는 보상의 ICP 발행량은 ICP의 평균 가격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ICP 가격이 낮을수록 발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높을수록 발행량이 감소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후, 노드 운영자 보상은 XDR(미국 달러, 유로, 엔화, 파운드 등 5개 주요 국제 통화로 구성된 바스켓)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만약 ICP/XDR 환율이 크게 변동할 경우, 자동 안정화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NNS 신경망 거버넌스 투표 보상
모든 네트워크 거버넌스 참여 Neuron은 토큰 단위로 보상을 받습니다. 이러한 보상은 ICP의 신규 발행에서 비롯됩니다.
ICP 공급의 또 다른 증가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신경원의 해제에 따른 공급 증가입니다. ICP Dashboard의 데이터에 따르면, 스테이킹된 ICP의 총량은 2억 3,800만 개(약 26억 5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이 중 85%는 해제 불가 상태이며, 15%는 해제 가능한 상태로 나타났습니다. “해제 지연” 기간에 따라 분류하면, 59%는 8년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잠금된 가치는 10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는 ICP 네트워크를 TVL 기준 상위 10대 퍼블릭 체인 생태계에 포함시킬 만큼 중요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현재 DeFiLlama의 TVL 계산에는 해당 잠금된 가치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 외 6개월에서 1년기 설정은 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성숙도(Maturity)를 통해 ICP를 생성하는 경우입니다. 신경원 보유자가 축적된 성숙도를 사용하기로 선택하면, 해당 만기가 ICP로 주조됩니다. 11월 5일 기준, 성숙도를 통해 총 4,280만 개의 ICP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현재 공급량의 8%에 해당합니다. 이 중 10월에 생성된 ICP는 109만 개, 11월 현재까지는 약 16만 개가 생성되었습니다.
1.3 ICP 데이터 개요
1.3.1 프로젝트 관련 데이터
현재 ICP의 In-dApp TVL은 5,300만 달러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2024년에 들어선 이후, TVL은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연초 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ICP의 TVL은 DeFiLlama에 기록된 10개의 dApp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6개는 비교적 안정적인 TVL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6개 중 1개는 ICP 자체의 SNS DAO이고, 나머지 5개는 WaterNeuron, ICPSwap, Sonic, ICDex, Helix Markets입니다.
수익 수준으로 볼 때, ICP의 10월 수익은 상위 8대 퍼블릭 체인에 포함됩니다.
TPS(초당 거래 수) 측면에서 ICP는 꾸준히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9월 이후 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전 5,000 TPS 수준에서 7,000 TPS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일일 거래 건수 측면에서, 9월 이후 ICP의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전 15,000건 수준에서 30,000건 수준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10월 1일에는 52,300건으로 역대 최고 거래량을 기록했습니다.
GitHub 제출 데이터에 따르면, ICP는 7,000개 이상의 제출(프로젝트 소스 코드 수정)로 가장 활발한 개발 활동을 보이며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ICP가 지속적으로 프로젝트를 업데이트하고 개선하고 있음을 증명합니다.
1.3.2 소셜 미디어 관련 데이터
2024년 11월 5일 기준, ICP는 X(구 Twitter)에서 70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용 Reddit도 운영 중입니다. Reddit에서는 업데이트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ICP는 전 세계 각지의 허브에서 개별 생태계 계정과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으며, 엑셀러레이터 협력 파트너와 함께 글로벌 생태계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ICP를 기반으로 한 완전 탈중앙화 커뮤니티 OpenChat은 25,710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MAU)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사용자들은 완전한 탈중앙화 커뮤니티 제품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1.4 기술 아키텍처
ICP의 개발은 2019년 Copper의 출시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와 Motoko라는 스마트 계약 작성을 위해 설계된 전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도입되었습니다.
ICP의 스마트 계약은 다음과 같은 주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의 표현력과 확장성을 유지하면서도,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신뢰 불필요한 실행 방식의 이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개념도를 통해 알 수 있듯, 중앙화 서버에서 이더리움으로 이동함에 따라 탈중앙화의 정도는 증가하지만, 이는 확장성의 희생을 대가로 이루어집니다. ICP는 이 곡선의 중간에 위치하여 확장성과 탈중앙화 간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CP는 계층적 아키텍처를 채택하고 있으며, 주요 구성 요소로 컨테이너(Canister), 서브넷(Subnet), 노드(Node), 그리고 데이터 센터(CPU, 네트워크 및 메모리 자원 포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CP를 다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각 서브넷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퍼블릭 체인 역할을 하며, 한 서브넷의 스마트 계약이 다른 서브넷의 스마트 계약과 메시지를 통해 통신할 수 있습니다.
각 서브넷에는 여러 컨테이너(Canister)가 탑재되어 있는데, 이 컨테이너는 ICP 내에서 상호 운용 가능한 기본 단위입니다. 각 컨테이너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코드와 상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장 하위 계층에는 전용 하드웨어를 호스팅하는 독립 데이터 센터가 위치하며, 그 위에 노드(Node)가 실행됩니다. 노드는 서브넷 컨테이너의 데이터와 상태 처리를 담당합니다. 노드 제공자는 노드 기기를 독립적으로 소유하고 제어하며, 전 세계에 분포한 데이터 센터에서 인터넷 컴퓨터 블록체인의 용량을 확장합니다.
현재 ICP는 37개의 서브넷, 132개의 노드 제공자, 784,000개의 컨테이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계층 구조 설계는 ICP에 더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규모와 요구를 가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이러한 설계는 ICP의 사용자 경험을 클라우드 서비스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다음은 ICP의 스마트 계약 시스템인 컨테이너(Canister)의 개념을 소개합니다. 이는 dApp의 실행 기반으로,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각 Canister는 고유한 메모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ICP를 슈퍼컴퓨터로 간주한다면, Canister는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스에 해당합니다. 각 Canister 프로세스는 자체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 계약 관련 데이터를 특정 컨테이너에 캡슐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ICP만의 독창적인 데이터 저장 방식입니다. Canister를 통해 프로그램의 상태, 데이터베이스, 심지어는 프론트엔드 데이터(예: 게임 자산)까지 모두 컨테이너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dApp의 확장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
즉, ICP는 본질적으로 Canister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화 기술을 통해 ICP의 노드에서 다수의 Canister 컨테이너를 배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1.4.1 강력한 “체인 융합” 기술 (ChainFusion)
체인 융합(ChainFusion)이란?
먼저 DFINITY의 엔지니어링 부사장인 Samuel Burri의 설명을 살펴보겠습니다.
“체인 융합이란 ICP의 스마트 계약이 거래를 서명하고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신뢰할 수 있는 단일 지점 없이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ICP는 Chain Fusion 기술을 통해 거래를 직접 다른 체인에 기록하며(프로토콜 레벨에서 스마트 계약에 의해 제어되는 크로스체인 통합 및 상호 운용), 중앙화된 브릿지 같은 중개 없이 안전한 다중 체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술의 주요 특징
1.체인 키 암호학(Chain-Key Cryptography)
Chain Fusion의 핵심은 ICP만의 독창적인 체인 키 암호학입니다. 이 기술은 ICP의 스마트 계약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다른 블록체인과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ICP는 다른 체인의 서명된 거래를 검증하고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ICP에 각 블록체인을 위한 “가상 노드”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이를 통해 P2P 안전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ICP의 스마트 계약은 체인 키 암호학을 통해 비트코인 주소를 직접 제어(송금 및 수신)할 수 있습니다.
2.체인 키 토큰(Chain-Key Tokens)
ICP는 ckBTC, ckETH와 같은 체인 키 토큰이라는 특별한 토큰 형식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존의 “페깅 토큰”과는 달리, 완전히 탈중앙화된 스마트 계약에 의해 관리되며, 각 체인 키 토큰은 동일한 양의 원자산으로 보증됩니다.
예시: ckBTC는 ICP에서의 비트코인 토큰으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이를 실제 BTC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이 토큰은 ICP 스마트 계약에 의해 생성 및 순환되며, 중앙화된 커스터디에 의존하지 않습니다.이러한 구조는 거래 효율성 및 안전성을 높이고 크로스체인 비용을 대폭 낮춥니다.
ChainFusion 아키텍처는 전통적인 중계 네트워크나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복잡성과 보안 위험을 줄입니다.예를 들어, 이더리움에서 사용되는 많은 크로스체인 브릿지가 공격 대상이 되는 반면, Chain Fusion은 완전 탈중앙화된 검증 방식으로 이러한 취약점을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통합된 환경에서 여러 블록체인을 아우르는 dApp을 개발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1.양방향 통신
2.ICP “컨테이너” 스마트 계약으로 거래 서명 및 제출
3.효율적인 비용, 신속한 완료, 반대 Gas 모델
ICP의 컴퓨팅 능력과 아키텍처는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초당 수많은 크로스체인 요청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거래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멀티체인 결제, 스마트 계약 호출 등 복잡한 온체인 로직도 지원합니다.
Chain Fusion 기술은 다른 블록체인에 ICP의 확장성과 저비용 거래 기능을 제공하는 “초능력”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ICP의 스마트 계약은 400GiB에 달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비 IC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도 온체인 데이터 저장을 지원합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부터 고급 AI 모델까지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ICP 생태계에 더 많은 개발자와 자산을 조달하며,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려는 개발자를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Chain Fusion은 기술 혁신을 넘어,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기술이 성숙되고 널리 사용되면, 탈중앙화 금융(DeFi),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블록체인 연결성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입니다.
1.4.2 체인 융합 + 인공지능 = 탈중앙화 인공지능
AI와 관련하여 일반 사용자는 AI 모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되고, 모델이 어떻게 응답을 생성하는지 등 모든 것이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ICP 상에서 구현되는 탈중앙화 AI는 스마트 계약의 신뢰성, 안전성, 검증 가능성, 그리고 탄력성을 AI 애플리케이션에 도입함으로써 전통적인 플랫폼이 제공할 수 없는 투명성과 보안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AI는 막대한 연산 자원을 요구하는 작업입니다. 특히 수백만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AI 모델에서 추론을 실행하려면 수십억 번의 산술 연산(곱셈과 덧셈 등)이 필요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블록체인이 초당 수십억 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체인 상에서 AI 추론과 대규모 모델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 ICP의 “컨테이너” 스마트 계약은 더 많은 연산 및 메모리 집약적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올해 7월, Cyclotron이 도입되면서 ICP는 계산 능력을 약 10배로 향상시키는 혁신적 돌파구를 이루었습니다. 이 milestone은 “컨테이너”의 계산 및 메모리 능력을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GPU 하드웨어 가속을 위한 기반도 마련했습니다.
AI 계산에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왜냐하면 가상머신이 스마트 계약 코드를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가상머신의 성능과 기능은 스마트 계약이 실행할 수 있는 AI 계산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EVM(이더리움 가상머신)은 DeFi 스마트 계약에 특화되어 설계되었으며, AI 계산에 필요한 부동소수점 연산(floating-point arithmetic) 기능이 부족합니다.반면, ICP는 WebAssembly(Wasm)를 가상머신으로 사용하며, 이는 부동소수점을 지원하고 네이티브 성능에 가까운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Cyclotron은 WebAssembly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최적화되었습니다.
Cyclotron의 주요 최적화 요소는 3가지가 있습니다.
1.결정론적 부동소수점 연산
대부분의 AI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부동소수점 연산에 의존합니다. ICP는 결정론적 연산을 요구하는데, 이는 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ICP가 여러 노드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하고,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올바른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입니다. DFINITY 엔지니어들은 WebAssembly 가상머신인 Wasmtime에서 부동소수점 연산을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최적화를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컴파일러 최적화는 ICP뿐만 아니라 Wasmtime을 사용하는 다른 플랫폼에도 이점을 제공합니다.
2.단일 명령어-다중 데이터(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SIMD)
SIMD는 현대 CPU의 일반적인 기술로,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산술 연산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WebAssembly는 하나의 명령어로 네 개의 부동소수점 덧셈을 병렬로 실행할 수 있어 계산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3.AI 추론 엔진에서의 SIMD 지원
Cyclotron의 마지막 핵심은 AI 라이브러리에 WebAssembly SIMD 지원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DFINITY 팀은 Sonos Tract 오픈소스 추론 엔진에 WebAssembly SIMD를 구현했습니다. 새로운 코드는 SIMD 명령어를 사용해 행렬 곱셈 및 기타 수치 알고리즘을 수행합니다. 이는 ICP뿐만 아니라 더 넓은 개발자 커뮤니티에도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최적화가 결합되면서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엔드 투 엔드(End-to-End) AI 추론 작업에서, 모델에 따라 관찰된 개선 범위는 5배에서 19배까지 다양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yclotron의 도입은 ICP를 블록체인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AI와 블록체인의 심층적 융합을 위한 밝은 미래를 열어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ICP는 블록체인 상에서 얼굴 인식을 완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유일한 플랫폼이 되었으며, 이미지 분류 및 GPT-2 추론과 같은 고급 AI 사용 사례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DecideAI 제공). 이는 단순한 기술적 도약이 아니라, 블록체인 응용 분야를 재정의하는 획기적인 변화이며, 미래의 온체인 AI 탐색을 위한 새로운 문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4.3 DePIN 인프라
ICP의 네트워크 노드는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하드웨어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저장과 계산을 완전히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앙화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클라우드 컴퓨팅”을 탈중앙화된 “온체인 스토리지, 온체인 컴퓨팅”으로 완전히 대체하게 되며, ICP는 이상적인 DePIN(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로 자리 잡게 됩니다.
1.5 경쟁 구도
ICP가 추진하는 기술과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보면, 직접적으로 비교할 만한 경쟁자를 찾기 어렵습니다. ICP는 단순한 블록체인이 아니라 “네트워킹 컴퓨터”로서, 저장부터 계산까지의 완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한계를 뛰어넘으며,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Web3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매끄럽게 통합된 개방형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시기를 되돌아보면, 이는 인류 기술이 급격히 가속화된 중요한 시기이며 특히 AI 발전에서 혁명적인 돌파구가 나타난 시기입니다. 현재 ICP는 OpenAI, Google, Amazon과 같은 중앙화된 대기업이 주도하는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풍부한 인재, 하드웨어, 자본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앙화된 AI는 항상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합니다. 대형 기술 기업들의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의 폐쇄성은 “AI 민주화”를 실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오픈소스 AI(Open Source AI)“와 “크립토 AI(Crypto AI)“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Crypto라는 두 가지 대규모 기술 트렌드의 초기 융합이 매우 주목받는 이유이며, 바로 혁신이 일어나는 지점입니다.
ICP는 엄밀히 말해 전적으로 Crypto AI를 전문으로 하는 플랫폼은 아니지만, AI 모델과 기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방해를 받지 않는 환경을 제공하고, 개방적이고 정직한 상업적 관행을 통해 보안성과 신뢰를 증진합니다. ICP의 “컨테이너”는 대량의 계산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고성능 스마트 계약으로, 복잡한 AI 모델을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DFINITY의 비전 역시 AI의 탈중앙화된 미래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ICP는 주로 AI와의 결합이 밀접한 다른 플랫폼들과 비교될 수 있습니다.
1.5.1 NEAR Protocol
지난 10년간 블록체인은 세 가지 주요 발전 단계를 거쳤습니다: 비트코인의 등장, 이더리움과 스마트 계약 플랫폼의 도입, 그리고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3세대 블록체인의 출현입니다. NEAR Protocol(NEAR)은 3세대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NEAR는 2018년에 설립되어 2020년 10월 메인넷을 출시했습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A16Z Crypto, Tiger Global과 같은 유명 기관들로부터 총 5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했습니다. PoS(Proof-of-Stake) 기반 L1 블록체인으로서 NEAR는 기존의 확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창적인 아키텍처를 갖춘 새로운 블록체인을 구축했습니다. 네트워크 참여 노드가 모든 코드를 실행해야 한다는 기존 개념에서 벗어나, NEAR는 샤딩 기술(Nightshade)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을 가로로 확장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블록체인을 고속도로에 비유하면, 샤딩 기술은 이 고속도로를 넓히고 차선을 나누어 차량 흐름을 분산시키는 것과 같습니다.
Nightshade는 거래 처리 작업을 여러 검증 노드에 분산시킵니다. 각 검증 노드는 네트워크 거래의 일부만 처리하면 되므로, 여러 샤드에 걸쳐 병렬로 거래를 처리하고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초당 거래량(TPS)을 증가시키고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NEAR는 초당 68.48건의 TPS를 기록하며 모든 블록체인 중 6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ICP는 약 5,000 TPS로 1위를 기록 중입니다).
DeFiLlama에 따르면 NEAR의 현재 In-dApp TVL은 3억 달러이며, 그중 Burrow가 2억 2천만 달러로 73%를 차지합니다. Burrow는 탈중앙화, 비수탁(non-custodial), 자산 풀 기반의 대출 플랫폼으로, Aave, Compound 및 기타 풀 기반 프로토콜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2022년 4월 초 나타난 TVL의 급격한 상승은 Burrow가 NEAR 메인넷에 출시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NEAR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체인 추상화(Chain Abstraction) 측면에서 사용자 경험과 이해를 친숙하게 만드는 데 탁월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NEAR에서는 읽을 수 있는 계정 이름을 사용합니다. NEAR 사용자는 자금을 0x123abc…와 같은 복잡한 주소로 전송하는 대신, alICPe.near와 같은 계정 이름으로 간단히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사용자는 지갑 없이도 스마트 계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큰 매력을 제공합니다.
NEAR의 두 가지 주요 프로젝트는 레인보우 브릿지(Rainbow Bridge)와 오로라(Aurora)입니다.
레인보우 브릿지는 2021년 5월 출시되어 2023년 6월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사용자가 이더리움과 NEAR/Aurora 간에 어떤 이더리움 토큰이라도 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오로라는 NEAR의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역할을 수행하며, 이더리움 코딩 기술을 사용해 구축되어, 개발자는 기존의 dApp을 다시 작성하거나 새로운 개발 도구를 학습할 필요 없이 NEAR 체인에서 바로 작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NEAR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거래 수수료가 매우 저렴하며(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약 $0.02), 거래가 2초 안에 확인됩니다.
현재 오로라의 TVL(총 예치 자산)은 1,500만 달러 이상이며, 생태계에는 211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X(구 Twitter)의 최신 게시물에 따르면, 80,000번의 시뮬레이션에서 오로라는 여전히 가장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NEAR는 이러한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와 강력한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생태계를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Sentient는 ICP와 유사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AI와 블록체인의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Sentient의 목표는 오픈소스 AI 플랫폼을 개발하여 AI 개발자들이 다음을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1) 모델, 데이터 및 기타 혁신을 수익화할 수 있도록 지원, (2) 서로 협력하여 강력한 AI를 공동으로 구축, (3) 새로운 오픈 AI 경제의 중요한 이해관계자가 되는 것입니다. Sentient는 Polygon 위에 구축될 예정입니다.
Sentient를 언급할 때, 그 화려한 핵심 기여자 팀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창립자 중 한 명은 Polygon의 공동 창립자인 Sandeep Nailwal이며, 고문으로는 EigenLayer의 창립자이자 CEO인 Sreeram Kannan이 있습니다. 이러한 최상위 팀의 지원으로, Sentient는 올해 7월에 Peter Thiel의 Founders Fund가 주도하는 8,500만 달러의 시드 라운드 자금을 완료했습니다. 이는 올해 발표된 가장 큰 암호화 AI 프로젝트 자금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Sentient는 현재 매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공식 웹사이트는 아직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았고, 플랫폼은 대규모 엔지니어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OpenAI는 자금과 자본의 필요성으로 인해 더 큰 성공과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개방에서 폐쇄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나 Sandeep는 개방성을 유지하면서도 자금을 확보하고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ntient는 새로운 프레임워크인 OML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OML 모델은 Open(개방형: 누구나 모델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음), Monetizable(수익화 가능: 모델 소유자가 타인에게 모델 사용을 허가), Loyal(충성도: 집단/DAO에 의해 통제)로 구성됩니다. 이 모델은 모델이 분산된 환경에서 사용되면서도, 분산된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 상황을 추적하고 기여자에게 보상하여 개방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재 OML 백서가 발표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로드맵에 따르면, Sentient는 단기적으로 초기 플랫폼 구축, Open AGI 해커톤 등의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후 Sentient 프로토콜 발표, 초기 기초 모델 실험, 커뮤니티 기여로 구축된 초기 모델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장기적으로는 AI 구축 경제의 인센티브와 수익화를 실현하고, 커뮤니티 기반의 최종 모델과 Open AGI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록 Sentient의 미래 발전은 아직 지켜봐야 할 부분이 많지만, 조금 더 관대한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도 있을 것입니다. AI는 본질적으로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이며, 이 분야의 어떤 기업이라도 인류의 미래를 결정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상위급 창립자들과 화려한 투자 라인업은 Sentient가 새로운 탈중앙화 AI 플랫폼으로서 적어도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Web2의 대기업들과 경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어쩌면 Sandeep의 대담한 경계 넘기가 우리에게 더욱 OML적인 AI 발전의 청사진을 만들어 줄지도 모릅니다.
1.5.3 AO
AO는 Arweave의 공식 프로젝트로, 올해 6월에 백서를 공개했습니다. 이는 탈중앙화 데이터 저장 플랫폼인 Arweave(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음)의 창립자인 Sam Williams가 출시한 프로젝트로, A16Z와 SevenX Ventures 등 최상위 VC의 책임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AO의 네이티브 토큰인 $AO는 참여자를 유인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AO 토큰의 최대 공급량은 2,100만 개로, 100%가 커뮤니티에 할당됩니다. 이 중 36%는 AR 보유자에게, 나머지 64%는 크로스체인 사용자(현재 $stETH, $DAI)에 배분됩니다. AO 토큰은 비트코인과 유사한 반감기 주기를 따르며, 매 5분마다 배분 비율이 점차 감소합니다.
AO는 Arweave 데이터 저장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축된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간단히 말해, 전통 금융에서는 자금을 은행에 보관하고, 은행이 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지만, 이 방식은 비효율적이고 절차가 복잡합니다. DeFi에서는 자산이 자동으로 스테이킹되고 유동화되어 자본 활용 효율성이 증가합니다.
AO에서는 모든 자금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며, 자신만의 로봇이나 AI를 통해 이를 운영합니다. 각 자산은 고유한 전략을 가질 수 있어 금융 자산의 지능화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AO는 더 나은 성능과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지갑에 컨트랙트 코드를 주입하고, 에이전트를 통해 전략을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AO의 최종 비전은 AI와 블록체인의 완전한 융합을 실현하는 것이며, AI 모델이 온체인에서 직접 호스팅되고 실행되며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AO는 출시 후 약 3주 반 만에 3,000명이 넘는 개발자를 Arweave 생태계로 유입시키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단기간에 많은 AO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했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과거 Arweave는 저장 프로토콜로서 단순히 하나의 하드 드라이브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단지 하드 드라이브만으로는 더 큰 서사와 사용 사례를 담아내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rweave는 자체 하드 드라이브와 완벽히 호환되는 CPU인 AO를 개발해 온체인 AI의 서사에 통합했습니다. AO는 Arweave를 구원했으며, 시장은 AO에 대해 큰 관심과 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동시에 저장과 계산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ICP가 이미 구현한 바 있습니다.
2024년 2월 이전까지 AR의 가격은 10달러 이하에서 머물며 BTC에 비해 크게 저조한 성과를 보였고, 메인넷 업그레이드 및 불장에서도 상승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AO 출시 이후, AR 가격은 빠르게 상승하여 한 달 만에 4배가 뛰었으며, 최근에는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약 15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6 초기 가치 평가
ICP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은 매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ICP는 단순히 하나의 블록체인에 머무르지 않고, 웹2(Web2) 세계를 웹3(Web3)로 재구축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플랫폼의 미래 계획과 구상을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그 가치는 무한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중요한 시점에서 ICP가 20년 로드맵에 따라 계획된 목표와 실제 성과 간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ICP와 NEAR 간의 비교를 보여줍니다. 2021년 발생한 제3자에 의한 가격 조작 사건 이후, ICP의 토큰 가격은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가총액 관점에서 봤을 때 눈에 띄는 성과는 아니지만, 여전히 CoinMarketCap 상위 30위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ICP의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와 관련된 분석은 후속 항목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며, 특히 창립자가 AI의 블록체인화에 강한 관심과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에서 앞으로 열릴 잠재적 가치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랫폼 | ICP | NEAR |
메인넷 출시 시점 | 2021년 5월 | 2020년 8월 |
시가총액 (MC, 억 달러) | 6.28 | 8.2 |
완전 희석 가치(FDV,억 달러) | 7.0 | 8.3 |
MC/FDV 비율 | 90% | 99% |
TVL(총 잠금 가치, 백만 달러) | 2719(26.5억 달러 상당의 ICP 스테이킹 포함) | 310.21 |
FDV/ TVL 비율 | 2.6 | 27 |
2. ICP의 생태계
ICP 생태계에는 현재 300개 이상의 dApp이 입주해 있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요 분류를 살펴보면, 소셜(Social) 57개, 디파이(DeFi) 52개, 체인 융합(Chain Fusion) 49개, NFT 47개, 게임(Game) 29개, 그리고 AI 관련 dApp이 60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주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ICP 생태계 내 대표적인 선두 프로젝트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다만, ICP 생태계가 점차 거대한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지면의 한계로 인해 모든 프로젝트를 일일이 나열하지 못하는 점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1 DeFi 섹션
2.1.1 ICPSwap (ICPS)
프로젝트 개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ICPSwap은 ICP의 네이티브 DEX로, ICP 생태계에서 가장 초기의 DEX 중 하나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DEX, 스테이킹(Staking), 파밍(Farming), NFT 마켓플레이스, 지갑(Wallet), DAO 거버넌스 등 다양한 DeFi 제품을 올인원(All-in-one)으로 통합하며 완벽한 제품군을 제공합니다. DEX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스왑(Swap) 기능뿐만 아니라 차트 및 분석 모듈을 포함한 전문가용 제품도 제공합니다. 현재 TVL은 9.95백만 달러로 ICP 생태계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Discord: ICPSwap Discord
2.1.2 Sonic
프로젝트 개요: Sonic은 현재 ICP 네트워크에서 가장 큰 DEX로, TVL은 약 1,000만 달러에 달합니다. 주요 특징은 빠른 거래 속도(2초 이내 확인)와 저렴한 거래 수수료(0.02달러 이하)입니다. 제품 모듈에는 스왑(Swap), LBP(유동성 부트스트래핑 풀)를 기반으로 한 자산 발행 플랫폼, 데이터 분석 도구 등이 포함됩니다. 사용 경험이 매끄럽고, Sonic V3 버전에서는 ICP 기반 EVM 호환 비트코인 레이어 2 네트워크인 Bitfinity와 통합되었습니다.
X: @sonic_ooo
2.1.3 Helix Markets
프로젝트 개요: Helix Markets는 주문장(Order Book) 기반의 DEX로, ICP 네트워크 상의 자산 외에도 Rich와 같은 Runes 프로토콜 자산을 지원합니다. 이는 ICP의 강력한 체인 융합 기술 덕분에 가능하며, ICP 네트워크에서 비트코인 메인넷 BTC, 오디널스(Ordinals), BRC20, Runes 프로토콜 자산을 직접 거래할 수 있습니다. Helix Markets는 비교적 늦게 출시되었으며, 현재 TVL은 약 200만 달러입니다.
2.1.4 KongSwap
프로젝트 개요: KongSwap은 AMM 기반 DEX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블록체인 간 멀티 브릿지(Multi-Bridge) 크로스체인 거래를 제공합니다. ICP의 체인 융합 기술과 안정 메모리를 활용하여 높은 비용, 유동성 분산, 복잡한 사용자 경험 등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KongSwap은 GitHub 및 개발자 포럼에서 활발한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투명성과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2023년 9월 SNS에 공식 합류했습니다.
X: @kongswap
2.1.5 WaterNeuron
프로젝트 개요: WaterNeuron은 2021년에 설립된 ICP 전용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프로토콜로, 이더리움의 Lido와 유사한 방식으로 ICP 사용자가 ICP를 스테이킹하면서도 자산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현재 TVL은 1,500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ICP 생태계 내 중요한 DeFi 프로젝트로 자리 잡았습니다. WaterNeuron은 지속적으로 제품을 혁신하며 DeFi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X: @WaterNeuron
2.1.6 SparkFi
프로젝트 개요: SparkFi는 유동성 스테이킹 $ICP를 위한 DeFi 프로토콜로, nICP를 기본 자산으로 사용하여 ICP 스테이커에게 조합 가능한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X: @sparkfiicp
2.1.7 Bob.fun
프로젝트 개요: Bob.fun은 ICP 기반의 밈코인(Memecoin) 런치패드로, 원래는 혁신적인 마이닝 프로토콜이었습니다. Bob.fun은 ICP 생태계에서 대량의 Cycles 소각을 촉진했으며, 성공적인 밈코인 프로젝트들을 다수 탄생시켰습니다.
X: @bobdotfun
2.1.8 Oisy Wallet
프로젝트 개요: Oisy Wallet은 DFINITY 재단이 유지 관리하는 프로젝트로, “사용자 지갑 비중 최소화 및 DApp 상호작용”을 실현한 대표 사례입니다. 브라우저 기반 다중 체인 암호화폐 지갑으로, ICP에서 실행되며 이더리움 ERC-20 토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Oisy Wallet은 완전한 탈중앙화를 목표로, 모든 데이터를 체인상에서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X: @oisy
2.2 Social 분야
2.2.1 OpenChat
프로젝트 개요:
OpenChat은 탈중앙화 소셜 애플리케이션으로, DFINITY 전 스마트 컨트랙트 엔지니어였던 Matt Grogan이 설립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초로 커뮤니티에 의해 제어되는 채팅 시스템으로, ICP 네트워크에 완전 배치되었습니다. 2023년 3월 DAO로 출시되었으며, 100만 개의 ICP를 모금하여 초기 공급량의 25%에 해당하는 2,500만 CHAT 토큰을 발행했습니다. OpenChat은 Discord와 Slack과 유사한 기능과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ICP와 BTC 같은 토큰을 포함한 메시지를 사용자 간에 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네이티브 기능도 지원합니다. 현재 OpenChat은 월간 활성 사용자(MAU)가 25,710명에 달합니다.
X: @OpenChat
2.2.2 DMAIL
프로젝트 개요:
DMAIL은 암호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통합 알림 및 맞춤형 마케팅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 플랫폼은 여러 체인 및 dApp과 통합되어 사용자, 개발자 및 마케팅 전문가의 요구를 충족합니다. 사용자는 분산된 이메일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으며, Web3 신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메시징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DMAIL은 안전한 이메일 및 알림 통신을 보장하며, Web3 인프라 내 핵심 통신 링크로 자리 잡았습니다. 2023년 1월 말, $DMAIL 토큰이 OKX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었습니다.
2.2.3 Catalyze
프로젝트 개요:
Catalyze는 2021년에 설립되어 Web3 커뮤니티를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커뮤니티 생성 및 관리, 이벤트 일정 조정, 즉각적인 가치 전송 도구를 제공합니다. 2023년 9월, ICP에서 CTZ 토큰을 출시하여 플랫폼 커뮤니티를 보상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앞으로 Catalyze는 새로운 인터넷의 KOL(Key Opinion Leader)을 유치하고 Web3 학습, 커뮤니티 구축, 이벤트 진행 및 무결점 토큰 전송의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2.4 ShareX
프로젝트 개요:
ShareX는 Web3 공유 경제를 혁신하려는 목표를 가진 플랫폼으로, 디지털 자산의 공유 및 관리 방식을 개선하며 더 연결되고 협력적인 Web3 환경을 제공합니다. ShareX는 공유 경제의 격차를 줄이고, 더 효율적이고 탈중앙화된 공유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현재 ShareX는 ICP와 ABCDE가 공동 주최한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 중입니다.
2.2.5 ICP Racer
프로젝트 개요: ICP Racer는 Telegram 기반의 소셜 미니 애플리케이션으로, ICP 생태계와 9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Telegram 생태계를 연결하여 ICP의 대중화를 촉진합니다. ICP Racer는 현재 Web3Labs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도 참여 중입니다.
X: @ICPRacer
2.3 DEAI 분야
AI 분야는 ICP의 핵심 관심 영역으로, 현재 60개 이상의 AI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래 도표는 이들 프로젝트의 개요를 보여줍니다.
2.3 DEAI 분야
다음은 ICP DEAI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프로젝트들입니다.
2.3.1 DecideAI
프로젝트 소개: DecideAI는 AI 기반 대형 언어 모델(LLM)을 개발하는 Web3 회사로, 2023년 8월 말에 ICP 블록체인에 GPT-2 LLM을 완전히 배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ICP의 고성능을 활용해 복잡하고 계산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Web3 개발자들이 특화된 LLM을 구축, 훈련 및 개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DecideAI는 ICP의 Chain Fusion 기술을 활용해 AI 모델을 이더리움과 솔라나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AI 완전 온체인화를 발표한 이후, DecideAI의 토큰 DCD는 첫 주에 100배 성장했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약 5천만 달러에 달합니다. 현재 2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두 달 만에 약 4배 성장했습니다.
X: @DecideAI_
2.3.2 ELNA AI
프로젝트 소개: 2023년 8월에 출시된 ELNA AI는 커뮤니티 주도의 탈중앙화 AI 에이전트 생성 플랫폼입니다. 기존 AI 챗봇이 운영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ELNA는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업로드하고 자신만의 맞춤형 AI 모델을 훈련시킬 수 있습니다. 훈련이 완료된 AI는 ICP 블록체인에 배포되며, 추가 데이터로 지식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X: @ELNA_DeAi
2.3.3 Chosen
프로젝트 소개:Chosen은 zkSync Era 기반의 최초 다중 모드 예측 시장으로, 현재 ICP 네트워크에 배포 중입니다. PeckShield 및 DeHacker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사용자는 예측, 소셜 공유, 투표 등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AI는 예측 이벤트 생성 및 대립 구조 형성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2.3.4 MurphAI
프로젝트 소개: MurphAI는 ICP 기반 AI 허브로, 사용자가 ICP 및 생태계 토큰을 보유하면 다양한 AI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urphAI는 ICP 생태계의 AI 제품에 계산 자원과 데이터를 포함한 인프라를 제공하며, AI 기술 스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X: @murphai_io
2.3.5 NGPU
프로젝트 소개: NGPU는 탈중앙화 AI 컴퓨팅 네트워크로,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에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GPU 자원을 제공합니다. 작업 기반 요금 체계, 지능형 자원 배분,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등의 혁신적인 기능을 통해 AI 서비스에서 무권한 접근, 낮은 지연 시간, 높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X: @ngpu_ai
2.3.6 MemeFun.ai
프로젝트 소개:MemeFun.ai는 ICP 기반 “Pumpfun”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쉽게 자신의 밈코인(memecoin)을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합니다. AI를 활용해 밈코인 및 커뮤니티 콘텐츠(예: 이모티콘) 제작 과정을 간소화하며, 일본, 한국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커뮤니티로 확장 중입니다.
X: @memefunicp
2.3.7 SpotLabs
프로젝트 소개:SpotLabs는 DEAI 플랫폼으로, 기업이 안전한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는 간단한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 생태계(“Spots”)를 제공합니다. 2023년 AI 해커톤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ICP grants로 1만 달러를 수령했습니다.
X: @yukuapp
2.3.8 Yuku
프로젝트 소개:2024년 1월 설립된 Yuku는 NFT, 메타버스, AI 에이전트를 포함한 다양한 모듈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지갑 없이 방문자 모드로 메타버스 공간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참여 장벽을 낮추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X: @yukuapp
2.3.9 Onicai
프로젝트 소개:Onicai는 서비스형 AI 플랫폼으로, ICP 생태계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지원하는 AI 제품에는 온체인 AI 챗 도구 DeVinci와 온체인 언어 모델 ICGPT가 포함됩니다.
X: @onicaiHQ
2.4 Chain Fusion
Chain Fusion은 현재 49개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2023년 5월 Tritium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 및 EVM 체인을 통합했습니다. 아래는 Chain Fusion 기술이 적용된 주요 사례입니다.
2.4.1 ckBTC
ICP의 비트코인 메인넷 통합: ICP는 비트코인 L2로 작동하며, 중앙화된 브릿지 없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통합됩니다. ICP 네트워크는 비트코인 경량 노드를 실행하며, Schnorr 서명 통합을 통해 ICP 스마트 계약이 프로토콜 수준에서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서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rdinals NFT 거래, 기념문 새기기 등을 포함합니다.
Chain-Key Bitcoin(ckBTC)는 ICP 네이티브 DeFi 혁신 중 하나로, 1:1 비트코인으로 지원되는 완전 탈중앙화 토큰입니다. ckBTC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발행되고 상환되며, 모든 프로세스는 투명하고 탈중앙화되어 중앙 관리자가 필요 없습니다. 사용자는 BTC를 ckBTC로 변환하거나 다시 환전할 수 있습니다.
2.4.2 ckETH
ICP의 이더리움 메인넷 통합:비트코인 통합 외에도, 이더리움 메인넷과 EVM 호환 체인이 Chain Fusion 기술에 의해 통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ckETH라는 이더리움 네이티브 토큰이 생성되었습니다.
2.4.3 ckSol
ICP의 Solana 네트워크 통합:Solana 네트워크 통합은 2024년 말까지 지원될 예정입니다.
2.4.4 BifiPal
프로젝트 소개:BifiPal은 ICP 기술을 활용해 BTC의 멀티 브릿지 크로스체인을 구현하며, 비트코인의 유동성 문제와 낮은 수익률 문제를 해결하는 종합 금융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 금융 시스템을 강화하고 전통 금융 서비스를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X: @BifiPal
2.4.5 TAP Protocol
프로젝트 소개:TAP는 비트코인 Ordinals를 위한 OrdFi 프로토콜로, 간단하고 접근 가능한 TAP 토큰 표준을 도입했습니다. TAP는 Token-Send, Token-Trade, Token-Auth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대규모 전송, 거래 간소화, 서명 발행 등을 지원합니다. TAP는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비트코인 L1 트랜잭션을 안전하게 서명하여 여러 체인(이더리움, ICP 등) 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합니다.
2.4.6 BitSmiley
프로젝트 소개: BitSmiley는 비트코인 네이티브 DeFi 프로젝트로, BTC 기반 초과 담보 스테이블코인 bitUSD를 도입했습니다. 사용자는 BTC를 초과 담보로 하여 bitUSD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BTC 블록체인 DeFi 프로토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2.4.7 Bioniq
프로젝트 소개:Bioniq는 ICP를 활용해 비트코인 Ordinals 거래를 간소화하는 시장으로,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2023년 11월 메인넷에서 출시되었으며, Polychain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2.4.8 기타 혁신 프로젝트
Chain Fusion 기술은 Helix Markets, Omnity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도 활용됩니다. 이 강력한 기술은 ICP 생태계에 더 많은 개발자와 자산을 끌어들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5 ICP 생태계 구축 노력
ICP 생태계는 현재 약 300개의 dApp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ICP는 생태계 활동과 확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그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려는 결단력과 실행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주요 조치입니다.
1. 유엔과 협력하여 동남아시아 시장 심화
ICP는 유엔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7월, 양측은 ‘범용 신뢰 자격(UTC)’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시작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프로젝트 첫 번째 대상은 캄보디아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10개국으로 확장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협력은 ICP에 기술적 신뢰를 더하고,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현지화 프로젝트를 통해 ICP는 블록체인이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2. AI 발전 센터 설립
디지털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전 세계는 블록체인, AI 및 사이버 보안의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AI는 ICP의 다음 주요 초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ICP는 단순한 비전을 넘어 실제 행동을 취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DFINITY 설립자인 Dominic Williams는 아르헨티나를 방문하여 기술 포럼에 참가하며, ICP의 혁신 능력을 활용해 라틴아메리카 신흥 기술 산업과 협력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지역 대학과 협력하여 훈련 캠프와 해커톤을 개최하며, 학생과 개발자들에게 신기술을 직접 가르쳤습니다. 이는 라틴아메리카 개발자들의 기술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ICP가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도록 돕는 데 기여했습니다.
3. 글로벌 허브 설립
ICP 허브(ICP Hub)는 전 세계적으로 ICP 인식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센터입니다. 이러한 허브들은 ICP 관련 개발, 협업, 교육 및 Web3 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ICP 허브는 인도, 라틴아메리카,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태국, 터키, 북미 및 동아프리카에 설립되어 있습니다.
4. 엑셀러레이트 프로그램: 스타트업 성장의 요람
2023년 3월, ICP는 Web3Labs와 협력하여 ‘ICP X Web3Labs 엑셀러레이트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 $5만 달러의 특별 보조금
• 기술 교육
• 시장 확장 지원
• 자원 연결
이러한 전방위적 지원은 생태계 내 프로젝트가 빠르게 성장하도록 돕고, 더 많은 개발자들이 ICP 생태계에 합류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ICP는 ABCDE 및 Outlier Ventures와 같은 아시아의 주요 파트너와 협력하여 엑셀러레이트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아시아 시장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5. 기업 지갑 전략적 협력
2023년 10월, ICP 허브 한국은 IoTrust와 전략적 협력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IoTrust의 Wepin 지갑은 간단하고 빠른 통합을 특징으로 하며,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기업도 간단한 SDK 및 API를 통해 지갑을 자체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 협력을 통해 Wepin은 ICP 생태계 내에서 더욱 활성화될 것이며,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혁신적인 Web3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6. SNS Launchpad
SNS(Service Nervous System)는 DFINITY 재단이 2022년 12월에 ICP 생태계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한 런치패드 인프라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는 원클릭으로 토큰을 발행하고 DAO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SNS 적용 과정:
1.프로젝트 백서와 토큰 경제 모델은 NNS(Network Nervous System)에 참여하는 ICP 지분 보유자의 다수 찬성을 받아야 합니다.
2.토큰 판매 종료 후, 프로젝트가 설정한 최소 목표를 충족해야 합니다. SNS를 통해 성공적으로 DAO로 전환된 사례 중 하나는 OpenChat으로, DAO 전환 이후 여러 제안과 투표가 이루어졌습니다.
•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 컨테이너 스마트 계약 업그레이드
• 마케팅 캠페인 생성
• 국고 자금 이전
• ICP 생태계 프로젝트 그룹의 구축 및 관리 등
현재까지 30개 프로젝트가 SNS를 통해 성공적으로 DAO로 전환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여기서는 앞서 언급된 NNS(Network Nervous System)와 구분해야 합니다. NNS와 SNS(Service Nervous System)는 모두 ICP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거버넌스 인프라입니다. NNS는 전체 ICP 네트워크의 거버넌스를 책임지는 DAO인 반면, SNS는 생태계 dApp을 위한 “원클릭” Launchpad로, dApp의 오픈 거버넌스, 토큰화, 투명성 등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SNS는 NNS의 성공을 기반으로 한 ICP의 또 다른 혁신적인 발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주요 특징 요약
Web3 생태계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ICP와 같이 기술적 기반을 심화하고 전체 블록체인을 통합하려는 결단력을 가진 프로젝트는 드뭅니다. DFINITY는 《ICP “메인넷” 발표 및 20년 로드맵》에서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 5년 후 (2026년): 더 많은 Web2 전통 기업가와 개발 팀이 ICP 네트워크에서 제품을 개발하며, DAO로 전환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것입니다.
• 10년 후 (2031년): 기술 산업의 “개방형 인터넷”이 되어, 진정한 Web3를 실현합니다.
• 20년 후 (2041년): Web2를 능가하는 “개방형 인터넷”으로 발전하여 모든 사람의 삶에 스며듭니다.
ICP는 메인넷 출시 이후 3년이 넘는 기간 동안 여러 핵심 기술 영역에서 꾸준히 발전하며 그 비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아래는 ICP의 주요 특징에 대한 분석입니다.
1.강력한 기술적 기반
ICP는 TPS가 두 번째인 Solana의 6배에 달하며, “인터넷 속도로 작동”하는 블록체인을 구현했습니다. 확장성 역시 사실상 무한에 가깝습니다. DFINITY 팀의 실용적인 접근 방식은 ICP를 과장된 마케팅 없이 기술 중심으로 자리 잡게 했으며, ICP의 초기 가격 조작 사건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신뢰성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압도적인 저장 비용 효율성
이더리움에서 1GB 데이터를 1년 동안 저장하려면 약 2억 4천만 달러가 필요합니다. Solana는 약 84만 달러인데, ICP는 단 5달러만으로 가능하며, Cycles라는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비용을 책정해 가격 변동 위험을 최소화했습니다.
3.혁신적인 NNS 거버넌스 메커니즘
ICP의 “뉴런” 거버넌스는 투표 권한과 보상을 스테이킹 수량 및 기간에 따라 설정합니다. 전체 뉴런의 약 60%가 8년의 해제 지연 기간을 선택했으며, 이는 ICP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를 보여줍니다. 이는 DAO 및 “개방형 인터넷 서비스”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4.탈중앙화 AI의 새로운 장 열기
Cyclotron의 도입으로 ICP의 계산 능력이 10배 향상되어, 블록체인 상에서 완전한 얼굴 인식과 같은 고급 AI 모델의 실행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AI 모델의 완전한 체인 상 구현으로 가는 첫걸음을 내디딘 것입니다.
5.100% 온체인 저장 및 계산
ICP는 정적 데이터 저장뿐만 아니라, 대규모 동적 데이터 처리, 특히 AI 훈련과 같은 복잡한 계산 작업까지 완전히 온체인에서 처리할 수 있는 유일한 블록체인입니다.
6.“체인 통합” 기술의 초능력
ICP의 Chain Fusion 기술은 다양한 블록체인 간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여, ICP 스마트 컨트랙트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이벤트에 따라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탈중앙화 금융(DeFi) 및 기타 응용 분야에서 혁신을 촉진할 것입니다.
7.사용자 친화적인 계정 추상화 및 개인정보 보호
ICP는 Web2와 유사한 계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하나의 계정을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동일 계정을 사용할 때도 각 애플리케이션에 공개되는 ID가 다르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가 보장됩니다.
8.네트워크 보안성
ICP는 전 세계에 1,000개 이상의 노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은 24시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노드들은 ICP의 NNS를 구성하여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관리하는 하위 네트워크가 이를 지원합니다.
9.개발자 친화적인 지원 시스템
DFINITY는 ICP Hub 및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자들에게 재정적 및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며,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금융 투자에 대한 기존의 내러티브는 점차 한계에 도달하며 피로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은 본질로 돌아가, 인터넷의 근본적인 인프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다시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ICP의 궁극적인 비전은 전 세계의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는 데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소프트웨어의 발전이 AI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ICP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나가야 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접근 방식은 AI 탈중앙화를 통한 새로운 모델 구축입니다. ICP는 이미 AI 내러티브와의 통합이라는 중요한 전략적 방향을 선택했으며, 수백만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AI 모델의 온체인 추론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며 목표를 향한 첫 단계를 내딛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ICP가 지향하는 장대한 비전을 향한 중요한 출발점으로, 이는 지속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치 있는 방향임이 분명합니다. 비록 초기에는 많은 도전과 난관이 있을 수 있으나, ICP가 개척한 이 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확장되고 안정될 것입니다.
DFINITY 또는 ICP 네트워크가 설정한 20년 로드맵은 이러한 맥락 속에서 실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며, 미래의 성과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 ICP는 AI와 블록체인의 융합을 통해 기술 혁신과 새로운 시장 기회를 열어갈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는 Web3와 AI 시대의 진정한 선구자가 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상으로 ICP에 대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Klein Labs는 리서치 기반의 Web3 서비스 제공업체로, 블록체인 생태계 참여자를 위한 맞춤형 유동성 관리, 종합 성장 솔루션, 자본 전략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Klein Labs 공식 X | Klein Labs 공식 텔레그램 커뮤니티 | Klein Labs 공식 네이버 블로그 | Klein Labs 공식 홈페이지
0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기술 카테고리 리서치
더보기
리서치 삭제
글 삭제 후 복구가 불가능 합니다.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