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에임드 임형철 대표, '더샌드박스' 성공 이어 새로운 유니콘 찾는다

2025.04.01 (화) 11:17

1
1

-임형철 대표가 설립 초기부터 전 라운드 참여해 500억 이상 투자한 더샌드박스, 4년 만에 기업가치 100배 상승

벤처스튜디오 에임드 임형철 대표가 올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예비 유니콘 및 웹3.0, 게임, ICT 분야 신사업 발굴에 나선다.

임형철 대표는 2018년부터 개인 자산으로 운영 중인 블로코어(Blocore)를 통해 국내외 유수 기업 80여 곳에 약 2800억 원(누적 투자금)을 투자했으며, 그 중 단일 기업에 500억 이상을 투자해 기업가치 1조 원의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시킨 더샌드박스(The Sandbox)는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더샌드박스 투자는 시드 라운드(2019)를 시작으로 시리즈A, B 후속 투자(2021년, 2023년)까지 전 라운드에 참여했으며, 블로코어의 자기자본과 더불어 임 대표가 공동 창업한 싱가포르 기반 벤처캐피털 트루 글로벌 벤처스(True Global Ventures, 이하 TGV) 펀드를 통해 총 3670만 달러(한화 약 530억 원)을 투자했다. 이에 초기 스타트업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함께 하며 지분 및 토큰을 각각 10% 이상 취득한 최대 투자자로 업계 조명을 받았다.

시드 투자 이후 더샌드박스 토큰(SAND)의 완전 희석 가치(FDV)는 최고 66억 5800만 달러(한화 9조5908억 원)를 기록했으며, 인기를 증명하듯 후속 투자에선 소프트뱅크(Soft Bank), 갤럭시 인터랙티브(Galaxy Interactive), 삼성넥스트(Samsung Next)를 포함한 세계적인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1000만 달러(한화 약 146억 원)로 평가되던 더샌드박스 기업 가치는 4년 만에 최고치인 10억 달러(한화 약 1조 4400억 원)를 달성, 명실공히 글로벌 웹3 유니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임형철 대표의 다음 선택이 집중 조명을 받기도 했다.

임형철 대표는 "지금까지 블로코어, TGV 등 투자자로서 스타트업을 꾸준히 지원했다"며, "앞으로는 투자자로서 뿐만 아니라 M&A 및 벤처스튜디오 구조를 통해 좋은 기업을 발굴하고 함께 성장하는데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임형철 대표는 벤처스튜디오 에임드 및 블로코어 외에도 운용자산(2억6천만 달러, 한화 약 3755억)의 40% 이상을 공동 창업자들이 직접 출자한 것으로 유명한 TGV를 2018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TGV를 통해 AI 기반 7개 스타트업에 716억을 투자하는 등 적극적으로 유니콘 기업 발굴에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lowpoke82

09:5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lowpoke82

2025.04.02 09:54:1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