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클라우드 플랫폼 Koii가 1만 달러 규모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탈중앙화 AI 에이전트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비전을 공개했다. 이번 에어드롭을 통해 수천 명의 신규 커뮤니티 회원이 합류했으며, 현재 Koii 네트워크에는 8,000개 이상의 노드가 매일 800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있다. Koii는 이를 기반으로 완전한 탈중앙화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탈중앙화 AI 네트워크의 시작
Koii는 단순히 AI를 보급하는 것이 아니라 AI를 커뮤니티가 직접 소유하고 운영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따라 Koii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이용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AI 에이전트 운영: 코드 작성, 차익 거래 탐색, 리포지토리 관리, 특수 연산 등 다양한 작업 수행
- 컴퓨팅 자원 수익화: 개인이 보유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보상 획득
- 생태계 기여 보상: 중앙 기업이 아닌 커뮤니티 구성원이 직접 가치를 창출하고 보상받는 구조
기존 빅테크 기업과 달리, Koii는 AI 운영의 주체와 보상이 소수 기업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모델을 지향한다.
1백만 개 노드 목표… "진정한 탈중앙화 실현"
Koii는 단순한 블록체인 채굴 개념을 넘어 1백만 개 이상의 노드를 운영하는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24시간 가동되는 AI 네트워크를 만들고, 모든 사용자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Koii가 제시한 탈중앙화 경제 구조(플라이휠 모델)는 다음과 같은 순환 구조를 따른다.
- 작업 실행 → KOII 토큰 획득
- AI 모델 훈련 → 네트워크 유틸리티 증가
- 유틸리티 증가 → 생태계 가치 상승
- 가치 상승 → 개발 활성화
- 개발 활성화 → 네트워크 강화
현재 Koii 네트워크는 이러한 순환 구조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완전한 탈중앙화 AI 네트워크 구축을 현실화하고 있다.
개발자·노드 운영자 위한 혜택 확대
Koii는 개발자 및 노드 운영자(Node Runner)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생태계 확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
- AI 에이전트 배포: JavaScript, Python, Rust 등 다양한 언어 지원
- KOII Ocean 액셀러레이터: Web3 글로벌 해커톤 및 지원 프로그램 제공
- 새로운 작업 수익화 모델 도입
노드 운영자 혜택
- 평판 기반 로열티 보상 시스템 도입
- 초기 기능 및 신규 업데이트 사전 체험 기회 제공
- 게이밍 보상 프로그램 운영 예정
- 하지로(Hajiro) 스테이킹 시스템 도입
이러한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Koii는 개발자와 노드 운영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생태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Koii, 글로벌 확장 본격화
Koii는 한국, 터키, 중국, CIS 지역을 중심으로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글로벌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대학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차세대 개발자 및 연구자 양성에 나서고 있으며, 결제 프로세서 통합 및 주요 미디어 파트너십도 추진 중이다.
현재 Koii는 한국의 대표적인 블록체인 미디어인 TokenPost와의 협업을 발표하며, 아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앞으로 공개될 주요 업데이트
Koii는 향후 다음과 같은 주요 업데이트를 예고했다.
- AI 에이전트가 AI 에이전트를 생성하는 기능
- KPL 토큰의 탈중앙화 거래소(DEX) 상장
- 모바일 지갑 출시
- 추가 보너스 작업(Task) 제공
모든 업데이트는 사용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으며, Koii 생태계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이 공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금이 기회… 탈중앙화 AI 네트워크 참여해야"
Koii는 1백만 개 노드 목표를 달성할 때, 초기 참여자들이 가장 큰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축 초기에 노드를 설정하고, 디스코드 커뮤니티에 참여하며, 생태계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탈중앙화 AI 네트워크의 미래는 이미 시작됐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Koii 커뮤니티가 있다.
Koii 네트워크 참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