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의 데이터는 자산입니다. 그리고 이제, 그 자산은 당신이 소유합니다.”
CZ와 Vana의 만남: 왜 그는 어드바이저로 합류했을까?
최근 Vana는 전 Binance CEO이자 YZi Labs의 창립자인 CZ(창펑 자오), 그리고 Vana의 창립자 안나 카즐라우스카스(Anna Kazlauskas)와 함께한 X(트위터) 라이브 대담을 진행했습니다. 진행은 Vana 재단의 매니징 디렉터인 Art Abal이 맡았습니다.
CZ의 멘토링 참여 이유
CZ는 최근 더 많은 시간과 여유가 생겼으며, 강력한 창업가들을 돕고 싶다는 취지로 Vana에 어드바이저로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 YZi Labs (구 Binance Labs)는 그가 현재 활동 중인 투자 조직이며, Vana는 그곳의 첫 AI 투자 사례입니다.
• 그는 자신을 “인턴”이라 부르며, 데이터 라벨링, 수집, 모델 훈련 등의 과정에 대해 기초적인 질문을 던지며 배우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모르는 걸 묻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건 양방향 학습입니다.”
AI는 ‘새로운 인터넷’이다
CZ는 현재의 AI 산업을 2009–2010년의 블록체인에 비유하며,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 AI는 사라지지 않을 근본 기술이다
• 지금은 챗봇이나 언어모델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앞으로 훨씬 더 넓은 분야에 적용될 것이다
• 크립토는 AI의 네이티브 화폐가 될 수 있으며, AI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이제 Web2 플랫폼에서 부족한 상황이다
데이터 주권: 단순한 프라이버시를 넘어서
AI와 경제 권력
안나는 AI의 진화가 데이터 소유권을 경제적 문제로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AI가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시대에는, 그 AI를 소유한 자가 경제권을 가지게 됩니다.”
• 단순히 데이터를 몇 달러에 판매하는 것이 아닌,
• ‘다음 ChatGPT’의 소유권을 일부 가진다는 개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CZ 또한 이에 동의하며,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했습니다:
• “데이터 소유는 어떤 모델을 지지하는지에 대한 윤리적 선택이기도 합니다.”
AI 개발의 위기: 데이터 고갈
현재 주요 AI 모델(LLaMA 3 등)은 약 15조 개의 단어 또는 토큰으로 훈련되고 있으며, 이는 공개된 인터넷 콘텐츠의 총량에 가깝습니다.
문제는 고품질 신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안나의 해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소유권과 보상이 명확히 정립된다면, 더 많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인센티브를 가지게 됩니다.
• 그 결과, AI 모델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해답은 DataDAO
DataDAO는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집단적으로 모으고 거버넌스할 수 있도록 만든 탈중앙화 조직입니다.
주요 특징:
• 데이터를 블록체인처럼 비수탁(non-custodial) 방식으로 소유
• 개인이 데이터 접근 권한을 프라이빗 키로 제어
• Reddit, 이메일, 건강, 차량 데이터 등 다양한 영역의 DAO 존재
• 일부 DAO는 수십만 명 이상이 참여 중
“데이터의 노동조합과 같은 개념입니다.”
데이터는 디지털 자산이다
CZ는 프랑스 경제학자 프레데릭 바스티아의 저서 『법』을 인용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의 데이터는 당신의 자산입니다. 그것은 법과 기술 모두로 보호받아야 합니다.”
그는 Vana의 접근 방식에 깊은 동의를 표했습니다:
• 사용자가 데이터 소유권을 유지
• 데이터를 모아 AI 훈련용 고부가가치 데이터셋 생성
• 사용자들이 수익 분배에 참여
• 특정 AI 모델에만 데이터 제공 가능 (선택적 참여)
“이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패시브 인컴(소극적 수익)**의 원천이 될 수도 있습니다.”
Vana의 로드맵: 데이터에서 수익 창출까지
안나는 Vana의 미래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유했습니다:
🎯 단기 계획:
• Spotify 청취 이력, Google 위치 기록 등 특화된 데이터 DAO 출시 예정
• Vana Academy와 Grow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참여 확대
🔁 중장기 목표:
• 데이터 수집 → AI 훈련 → 수익 창출의 전체 사이클 완성
• 프로그래매틱 데이터 접근(Programmatic Data Access) 기능 도입으로, 개발자가 DAO 간 데이터를 손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개선
데이터파이(DataFi): 데이터 기반 금융의 탄생
DeFi(탈중앙 금융)가 등장했듯, Vana는 DataFi라는 새로운 설계 공간을 열고 있습니다.
• 데이터 토큰 DEX (DataDEX)
• 데이터 기반 선물거래 플랫폼 등 실험적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음
완전한 사용자 소유 AI의 미래
안나는 다음과 같이 대담을 마무리했습니다:
“3년 안에, 1억 명 이상이 5개 이상의 데이터 출처에서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완전히 사용자 소유의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단순히 기술 혁신이 아닌, Web3 대중화의 진입점이 될 수 있습니다.
요약: 왜 Vana가 중요한가?
• 데이터 소유권이 실질적인 경제 권력으로 전환
• 사용자들이 AI 경제의 실제 주체가 되는 구조
• 패시브 인컴, 데이터파이, 윤리적 데이터 선택권 등 혁신적인 가능성 열림
• AI는 더 이상 대기업의 독점 기술이 아니라, 유저가 소유하는 AI로 재편 중
시작하세요: 당신의 데이터로 미래를 바꾸는 여정
Vana는 단순한 플랫폼이 아닙니다.
이것은 자기 주권적 데이터와 탈중앙화 AI로 나아가는 새로운 경제적 패러다임입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www.vana.org
- Vana Unofficial Korea Linktr: https://linktr.ee/vanakr
댓글 12개
Slowpoke82
2025.03.30 08:56:25
잘 봤습니다
Slowpoke82
2025.03.29 11:16:53
잘 봤습니다
릴라당
2025.03.29 10:09:35
좋은하루되세요
릴라당
2025.03.29 10:09:34
좋은하루되세요
Slowpoke82
2025.03.27 08:01:17
잘 봤습니다
FADO
2025.03.27 00:19:49
좋아요
FADO
2025.03.27 00:19:48
좋아요
다사랑
2025.03.26 20:07:22
감사합니다
Slowpoke82
2025.03.26 09:59:50
잘 봤습니다

코인매니아1
2025.03.25 19:47:4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2025.03.24 09:4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