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중국 BSN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区块链服务网络) 개요
raonbit

오늘로부터 1년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10월26일 블록체인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중국 시진핑 주석 "블록체인 적극 지원" 발언에 비트코인 기사회생...하루 30% 급등  https://www.tokenpost.kr/article-20883)하자 비트코인 가격이 요동을 친 적이 있었다.  [中 시진핑 "블록체인, 중국 경제개혁의 돌파구 될 혁신기술"]

중국은 블록체인 기술 개발이나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인프라로 확장하여 플랫폼을 공유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을 확보할 수 있는 국가 주도의 플랫폼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区块链服务网络 (이하 BSN)) 이다.

BSN의 개략적인 추진상황을 살펴보면, 2019년10월11일 BSN 구축 계획을 발표 (https://www.tokenpost.kr/article-19782)하고, 2019년10월15일부터 국가정보센터 내부적으로 BSN 베타 테스트를 진행 (https://www.tokenpost.kr/article-20044)하였으며, 2020년 4월25일 중국버전을 출시 (https://www.tokenpost.kr/article-39056) 하면서 공식 출시 (https://www.tokenpost.kr/article-32524) 하였다. 그리고 2020년8월  글로벌 버전 홈페이지를 개설 (https://www.tokenpost.kr/article-39989) 하여 글로벌 네트워크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2020년12월  허가형 규제 적격 오픈 컨소시엄체인인 BSN 오픈 블록체인 이니셔티브를 출시할 예정이다.

 

BSN을 요약해 보면,
- 추진주체 : 중국 국가정보센터 (SIC : State Information Center)  
- 추진 목적은 블록체인 국가 허브 네트워크로서
  > 블록체인 기술의 확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지역간 공공 인프라 네트워크
  > 개별 기업의 블록체인 응용 및 개발 비용 절감으로 산업 애플리케이션 확산을 독려하기 위해 개발
  > 일반 대중에게 제공되는 컨소시엄 체인의 성격을 가진다.
- BSN 컨소시엄은 국가정보센터, 차이나 유니온페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후오비차이나, 초상은행(CMBI) 등 14개 유명 기업 참여하고 있으며, 텐센트의 인터넷은행 ‘위뱅크(WeBank)’가 중국 국영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첫 기술 인프라 제공업체로 합류 (https://www.tokenpost.kr/article-24192) 하였다.


인프라 플랫폼 구성은 중국 버전과 글로벌 버전 (https://www.tokenpost.kr/article-42337)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글로벌 버전은 1차적으로 이더리움(ETH), 테조스(XTZ), 네오(NEO), 널보스(CKB), 이오스(EOS), 아이리스넷(IRIS) 등 6개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https://www.tokenpost.kr/article-38679) 지원하고 있다. 6개 퍼블릭 블록체인 개발자들은 2020년8월10일부터 BSN의 해외 데이터 센터의 데이터 저장소 및 대역폭을 활용해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노드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278)
폴카닷, 테조스, 알고랜드, 코스모스, 이더리움, 후오비퍼블릭체인 등 6곳이 BSN 초기 컨소시엄 멤버엄체 (https://www.tokenpost.kr/article-43235)이나, 알고랜드, 쉐어링, 솔라나 3개 퍼블릭 체인을 추가로 통합할 예정 (https://www.tokenpost.kr/article-42479) 이다.
BSN은 지원하는 퍼블릭체인을 허가형 규제 적격 오픈 컨소시엄체인으로 개조할 방침 (https://www.tokenpost.kr/article-43235) 이며, 2021년6월 이전까지 30~40개 퍼블릭 블록체인을 추가로 통합해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 (https://www.tokenpost.kr/article-40996) 이다.

폴카닷, 中 BSN 오픈 컨소시업체인 프로젝트 합류 공식화


BSN 노드를 public city node (PCN)이라고 부르며, 지역 공공 거점 도시에 구축되어 있다. 그리고 BSN 운용환경은 multiple blockchain frameworks, shared peer
nodes, CA management, authority chain, PCN gateway and PCN manager systems으로 구성되는 자원 풀을 가지고 있다. 
2019년12월에는 PCN을 중국 25개 도시와 홍콩, 싱가포르에서 시범 가동하였으며, 해외에도 미국, 일본, 호주, 브라질, 남아공, 싱가포르, 프랑스 등지에 노드가 배치(https://www.tokenpost.kr/article-32524) 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중국에서 PCN 게이트웨어 접근성을 관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중국 성 내 주요 도시가 BSN 공공 도시 노드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이므로 2020년 연말까지 BSN의 도시 노드 수는 200 개 (https://www.tokenpost.kr/article-41745)에 이를 전망이다.


App개발 환경 측면에서는 미국 블록체인 개발사 디지털애셋(Digital Asset)이 개발한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DAML을 11월부터는 지원할 예정 (https://www.tokenpost.kr/article-42355) 이며, DAML을 BSN 기반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독점 표준으로 삼으려고 하고 있다.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로는 통신, 에너지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지원 (https://www.tokenpost.kr/article-24192) 하며,  IOST가 개발한 샨이우(Shanyiou) 플랫폼이 중국블록체인서비스네트워크(BSN) 공공복지 및 자선 분야 공식 애플리케이션에 선정 (https://www.tokenpost.kr/article-37390) 되어 있다.
현재 26개 앱이 BSN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정 앱은 BSN 개발자 위원회 앱 허가 메커니즘 심의와 종합 심사를 거쳐 선정 (https://www.tokenpost.kr/article-41449) 된다.

 

결제 측면에서는 BSN의 결제 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 지원 계획을 가지고 있다. BSN 생태계에서 다양한 서비스 결제가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구상에 따른 것 (https://www.tokenpost.kr/article-40996)으로 스테이블코인은 클라우드 자원을 포함한 BSN 생태계의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나 활용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 구체적으로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이는 디지털 위안화가 발행된다면 BSN 인프라의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DCEP 추진 동향

 

BSN 인프라를 통해 CBDC를 활용한다면 중국 내 암호화폐 관련 개발이 더욱 촉진될 것   (https://www.tokenpost.kr/article-42337)으로 보이며, 콘플럭스는 중국 정부가 공식 지원하는 유일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BSN을 추진하는 목적은 중국이 타 국가에 인프라를 제공하고 선점자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일대일로’, 산업고도화 국가전략 ‘중국제조 2025’ 일환으로 보여지며 육해상 신실크로드 경제권을 형성하고자 하는 국가전략으로 생각된다.

BSN의 크로스체인 구조 및 유니온페이 제휴 등을 통하면, 전세계 이용자들이 중국의 기업용 블록체인 및 금융 데이터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1278)

포브스 전망에 의하면 중국은 BSN을 통하여 전세계 생산자들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묶어 잠재적으로 미국 기업들이 중국과 신흥 시장 소비자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략 (https://www.tokenpost.kr/article-41135)으로 보고 있으며, 중국은 BSN을 통해 글로벌 탈중앙화 서비스들이 중국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전세계의 퍼블릭 체인과의 연결을 실현한다면 BSN을 통해 각각 다른 산업 생태계에서 획기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

-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Technical White Paper,   https://bsnbase.io/g/main/index

 

댓글 3

0/1000

raonbit

2021.04.15 13:35:26

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User Manual
version 1.4.1
Date modified:19/03/2021
https://bsnbase.io/static/tmpFile/bzsc/index.html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raonbit

2021.01.18 11:53:04

https://cointelegraph.com/news/china-s-blockchain-project-bsn-to-pilot-global-cbdc-system-in-2021
- 5년 내 다수 국제은행, 기술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국가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를 기반으로 범용디지털결제네트워크(UDPN)를 구축할 전망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0.10.27 13:32:44

잘봤어요~~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