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세관 "블록체인 기반 세관 서비스 활용, 브렉시트 후로 연기할 것"

| Seungwon Kwon 기자

블록체인을 활용한 세관 처리 시스템 개발 작업에 순탄한 행보를 보인 영국 정부가 브렉시트 후로 해당 시스템 실행을 옮길 것이란 계획을 밝혔다.

13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의회 웹사이트에 Q&A 세션에 올라온 세관 내 분산원장 기술 프로젝트에 관한 질문에 에디 휴즈(Eddie Hughes) 의원은 정부가 브렉시트 실행 후 세관 시스템 내 블록체인을 통합할 것임을 밝혔다.

이어 영국 재무부 장관인 멜 스트라이드(Mel Stride)는 퍼미션드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을 통해 무역업체들에게 AEO (세관에서 수출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준을 충족할 경우 통관절차 등을 간소화시켜 주는 제도) 자격을 주는 프로젝트의 개발 사실을 밝혔다.

스트라이드 장관은 약 6주 간 파일럿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부가 블록체인을 통해 특정 세관 절차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민감한 위험 검사 결과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음에 확신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추가적인 개발에는 상당한 자원이 필요하고, 브렉시트 후 세관 분야 내 많은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의 개발 시간표와 비용할당을 브렉시트가 시행된 후로 연기함을 밝혔다.

이어 스트라이드 장관은 해당 작업이 추후 브렉시트를 통한 영국 정부의 새로운 국경설립 계획의 일환으로 큰 지원을 받고 진행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세관 내 블록체인의 적용은 영국 정부가 2017년 9월 발표한 정부 이니셔티브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당시, 영국 규제당국은 브렉시트 후 영국 영토의 국경선을 관리 및 감찰하는데 블록체인을 적용할 의사를 밝혔다.

실제로, 브렉시트 후, 영국은 새로운 국경의 개념이 도입되어 기존보다 약 5배나 많은 세관 업무를 처리해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8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도 북미자유무역협정 및 중미자유무역협정 등 주요 국가협정 확인 및 보호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함을 발표하기도 했다.

권승원 기자 jami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