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금융사들은 국내보다 앞서 암호화폐(가상자산)·대체불가토큰(NFT) 등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출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암호화폐를 운용중인 그레이스케일의 운용자산은 100억 달러(약 12조 원)를 넘어섰고, 자산운용사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는 캐나다에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를 출시한 바 있다.
아시아권에서는 싱가포르 최대은행인 DBS그룹홀딩스가 아시아금융기관 최초로 암호화폐 거래소를 설립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021년부터 암호화폐는 본격적으로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게 됐다"면서 "암호화폐 관련 펀드는 지난 201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1년까지 런칭한 펀드가 851개에 이르며 가상자산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말했다.
대세는 ‘디지털자산’…흐름 따라 가는 국내 금융사
국내 은행권에서도 암호화폐 수탁사업에 진출 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B자산운용은 2022년 2월 21일 디지털자산운용 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
KB자산운용 인덱스퀀트본부를 중심으로 상품, 준법, 리스크, 전략 등의 9개 부서에서 팀장급 인력이 주축의 태스크포스 조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KB자산운용은 국내·외 디지털 자산시장 리서치를 통해 관련 상품을 선제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주요국의 디지털자산 도입속도를 감안해 국내 규제완화 이후 가장 신속한 상품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KB자산운용은 디지털자산 인덱스지수 개발을 통한 펀드 출시 외에도 전통자산과의 낮은 상관계수를 활용한 자산배분펀드를 개발할 방침이다. 또 해외 암호화폐들을 활용한 원금보장 추구형상품 개발을 통해 퇴직연금 및 외부위탁운용관리(OCIO)시장에서 활용한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 시간불변 포트폴리오 보험전략펀드와 암호화폐가 포함된 혼합형펀드도 준비를 검토하고 있다.
김홍곤 인덱스퀀트 운용본부장은 “암호화폐 현선물에 투자하는 ETF로 구성된 재간접펀드, 암호화폐 테마의 주식형펀드 등을 최대한 빨리 출시하겠다”며 “고객대상 암호화폐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정기간행물도 출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래에셋금융그룹도 디지털자산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금투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2022년 1월 디지털자산 사업을 전담할 신설법인 설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에셋은 법인 고객 등을 겨냥해 디지털자산을 관리해주는 일종의 ‘코인은행’ 출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사업으로 법인 설립을 검토중이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은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암호화폐, 블록체인, NFT 등 디지털 자산의 등장을 언급하며 신기술 도입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아직은 이른 사업?…“금융사가 나서서 투명한 시장 만들어야”
다만 금융사들이 디지털자산 사업을 추진하는 것과 별개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주요 쟁점으로는 ▲불법 행위에 디지털자산 활용 ▲디지털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금융시장 내 위험 가중 ▲디지털자산 관련 사업화 시 수익 창출의 어려움 ▲불명확한 국내 규제 등이다. 해당 위험 요인으로 사업 시작에 더 신중해야 하지 않냐는 의견이다.
김상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장기적 관점에서 금융회사에 종사하는 임직원의 관점과 MZ세대의 디지털자산에 대한 관심에서 생각한다면 디지털자산 사업화 보류는 제외해야 한다”며 “현재 국내 규제 방향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금융회사는 제휴의 방식을 통해 디지털자산 사업 영역을 확보하고 주요 사업자와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 옳다”고 전했다.
정치권의 움직임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 2022년 3월 9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은 젊은 층에 대한 공약으로 ▲투자수익 비과세 ▲과세 기준범위 확대 ▲과세 시점 이연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디지털자산 관련 사업을 법제화 하는 한편, 암호화폐공개(ICO) 허용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도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개정 이후 규제 중심 논의를 벗어나 사업자 가이드를 제시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 연구원은 “정치권과 정책당국이 디지털자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투자자를 보호하면서 시장이 투명하게 운영되기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반 기업이 운영 중인 디지털자산 생성·유통·보관 서비스가 저작권 문제, 증권형토큰발행(STO) 및 매각 이슈, 보안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일반 투자자의 디지털자산 시장 참여 확대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디지털자산 시장의 투명한 운영을 위해서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업권법 제정 등을 통한 제도화가 중요하며 시장 내 이해관계자의 신뢰가 담보돼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