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을 불문한 새 비즈니스 모델인 가상자산(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불확실하고 일관성 없는 규제로 인해 은행과 금융당국 간 충돌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 황유선 책임연구원과 이상원 글로벌은행부장은 "가상자산 비즈니스 : 캐시카우일까, 회색코뿔소일까?"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은행권 트렌드를 분석했다.
이들은 "코로나 펜데믹 이후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 생태계가 커지고 관련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글로벌 은행권의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고 보고서 발간 취지를 밝혔다.
황 연구원과 이 글로벌은행부장은 계좌 기반 IC카드 등에 가치를 저장해 전자화폐를 쓰던 '디지털 머니 1.0 시대'와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이 등장한 이후 시작된 '디지털 머니 2.0'로 시대를 분류했으며, 산업이 현재 '디지털 머니 2.0'의 시대로 넘어가는 경계선에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글로벌 은행권의 가상자산 비즈니스 진출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며 "국내 은행들도 해외 사례를 참고하는 동시에 규제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주요 은행들의 가상자산 비즈니스 현황 / 국제금융센터
블록체인 산업 주요 소식을 BBR 매거진을 통해 만나보세요(구독신청)
이들은 "가상자산의 미래와 위험이 혼재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기관의 90% 가량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페이먼트닷컴(PYMNTS.com) 조사를 인용해 "전세계 금융기관들 가운데 약 4분의 3은 향후 12개월 내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며 은행권의 시장 진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암호화 기술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부족한 은행권은 단기간에 비즈니스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관련 회사 인수와 파트너십 체결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스탠다드차타드은행(SC은행), BNY멜론, 시티은행, UBS 등 글로벌 100대 은행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기반 회사 또는 프로젝트에 투자 중이라고도 전했다.
글로벌 은행들은 가상자산의 사업분야 중 ▲자산관리 ▲수탁 업무의 고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수수료 수익을 확대할 전망이다. 또한 중개 등으로 관련 서비스 범위를 넓히는 데도 관심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