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보안 스타트업 레코랩스(Reco Labs Inc.)가 새로운 기술 고도화를 위한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최근 이 회사는 2,500만 달러(약 36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마무리하며 기업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환경 보안 기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인사이트 파트너스, 지브 벤처스, 볼드스타트 벤처스, 앵귤러 벤처스, 레드시드 등이 참여하며 업계의 높은 신뢰도를 입증했다. 레코는 지난 한 해 동안 연간 반복 매출(ARR)을 5배 성장시켰다고 강조하며, 이번 투자 유치가 그런 성장세의 연장선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레코의 SaaS 보안 플랫폼은 기업 내 직원들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섀도우 IT'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해당 서비스들이 제대로 된 보안 통제를 따르고 있는지 AI 기반 에이전트를 활용해 분석한다. 이는 전통적인 IT팀이 파악하기 어려운 클라우드 환경의 맹점을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일부 계정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회사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자격 증명이 발견될 경우, 해당 위험 요인을 즉각 인지해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플랫폼은 제너레이티브 AI가 내장된 SaaS 기능 확산에 따른 새로운 위협도 감지할 수 있다. 최근 도입되고 있는 AI 챗봇이나 자동화 도구가 민감 정보를 의도치 않게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레코는 AI 기반 데이터 유출과 클라우드 간 정보 유입경로까지 추적하는 고급 분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보안 사고 사후 대응 기능도 눈길을 끈다. 비정상적인 데이터 접근 패턴을 탐지하고, 침해 가능성이 의심되는 계정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시각화해 제공함으로써 IT팀의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정확도를 높인다. 더불어 GDPR 등 글로벌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한 수백 개의 사전 구성 감지 컨트롤 규칙도 함께 제공된다.
레코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오퍼 클라인(Ofer Klein)은 "AI와 섀도우 애플리케이션이 겹쳐진 SaaS 보안 환경은 어느 때보다 복잡하고 유동적"이라며 "기존 SaaS 보안 관리 솔루션(SSPM)이 따라가지 못하는 범위까지 레코 플랫폼이 커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레코는 AI 에이전트의 정밀도를 끌어올리고, 지원 SaaS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동시에 채널 파트너십을 추가로 구축해 기업 고객층 확장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레코의 행보는 SaaS 보안을 둘러싼 기술적 요구와 시장 수요가 빠르게 맞물리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