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공공민간 협력 통해 암호화폐 경제 구축 본격화

| 김미래 기자

파키스탄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을 본보기로 삼아 공공과 민간 협력 모델을 통해 디지털 금융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파키스탄 크립토 협의회는 산업 리더들과 함께 규제 정비와 인프라 확충을 추진하며 글로벌 암호화폐 허브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최근까지 암호화폐에 부정적이던 입장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친암호화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암호화폐 정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파키스탄 크립토 협의회(Pakistan Crypto Council)는 규제 체계 수립을 주도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디지털 금융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까지 암호화폐를 불법으로 간주했던 파키스탄은 2024년 11월 미국 대선 이후 입장을 급변시켜 암호화폐를 합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파키스탄 재무부는 트럼프 대통령 고문단과의 회담 이후 '국가 크립토 협의회' 설립을 발표했고, 이후 파키스탄 크립토 협의회가 공식 출범했다. 파키스탄 크립토 협의회 최고경영자(CEO) 빌랄 빈 사깁(Bilal bin Saqib)은 '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의 상승 촉매제'라고 평가하며, 전 세계가 암호화폐 우선 전략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민간 기업과 함께 비트코인 채굴, 자산 토큰화, 디지털 자산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을 논의하고 있으며, 35억달러 규모 비트코인 채굴 인프라 구축과 에너지 잉여분 활용 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는 미국식 민관 협력 모델을 파키스탄에 적용해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추구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