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날 워싱턴에서 일본 측과 관세, 방위비 분담, 그리고 무역 불균형 해소 방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담이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직접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발표한 '상호주의 관세' 조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시 트럼프는 일본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해 24% 수준의 전면 수입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잠정적으로 90일 유예 입장을 밝힌 상태다. 유예 기간 안에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고율 관세가 실제로 발효될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미국과 일본은 서로에게 중요한 교역 상대국이다. 일본은 미국에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국은 액화천연가스, 축산물 등 다양한 품목을 일본에 판매하고 있다. 미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양국 간 총 교역 규모는 2022년 기준 3,000억 달러(약 432조 원)를 넘어섰다.
일본 정부는 이번 회담을 단기전이 아닌 장기 협상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고 있다. 일본의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출국 전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이번 회담의 목표는 이미 부과된 추가관세의 완전 철폐"라고 강조했으며, 시게루 이시바 일본 총리도 빠른 합의보다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논의 주제에는 군사 협력 부담금 조정 문제 역시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에는 미군 병력 수만 명이 주둔 중이며, 한미일 안보 공조를 감안할 때 이는 양국 간 민감한 이슈다.
또한 회담 과정에서 닛폰제철의 미국 철강업체 US스틸(X) 인수 시도도 주요 의제로 부상할 수 있다. 해당 인수 건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에 의해 일시 차단됐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 거래에 대한 공식 조사를 지시한 상태다. 해당 인수는 약 141억 달러(약 20조 3,000억 원) 규모의 대형 거래로, 미국 철강 산업의 현지 고용과 안보에 직결되는 사안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일본과의 대화를 통해 자국 경제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신중한 태도와 미국 측의 강경한 협상 전략이 맞부딪히는 가운데, 향후 90일 내 협상 타결 여부는 글로벌 공급망과 교역 환경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