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생태계 규모, 500억 달러 근접...리도 TVL 20% ↑

| 하이레 기자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생태계 규모가 500억 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4일 오전 10시 15분 기준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디파이 총예치액(TVL)은 488억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13일 기록한 저점 358억 달러에서 36%의 증가한 수준이다.

1위 프로토콜 리도(Lido)는 전월 대비 20.72% TVL이 증가하며 이 같은 성장세를 주도했다. 리도 TVL은 205억9700만 달러로, 디파이 시장 42%를 점하고 있다.

다른 상위 10개 디파이 프로토콜도 대부분 괄목할 만한 전월 대비 성장세를 기록했다.

메이커다오(6.35%), 에이브(9.67%), 저스트렌드(6.67%), 유니스왑(14.04%), 서머파이(19.37%), 로켓풀(19.32%), 컴파운드파이낸스(5.19%), 인스타앱(11.42%) 등이다. stUSDT는 10위권 중 유일하게 0.33%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15위 스파크는 52.53%, 21위 블래스트는 27.36%의 큰 성장세를, 16위 저스트스테이블은 29.91%, 33위 트론 기반 썬(SUN) 프로토콜은 23.27%의 큰 감소세를 보였다.

사진 = 블록체인 디파이 점유율 / 디파이라마

블록체인별로 보면 이더리움은 전월 대비 25.66% 증가한 274억 달러의 TVL을 기록하며 56% 이상을 점했다. 이어 트론(18.85%), BSC(6.11%), 아비트럼(4.58%), 폴리곤(1.75%) 등이 뒤를 이었다.

전월 대비 TVL이 2.81% 줄어든 트론을 제외하고 10위권 블록체인 모두 TVL 증가세가 나타났다.

BSC(6.06%), 아비트럼(21.51%), 폴리곤(10.10%), 옵티미즘(23.06%), 아발란체(21.81%), 크로노스 (12.47%), 베이스(4.46%) 등이다.

7위 솔라나는 전월 대비 71.14%로 폭증했으며, 비트코인도 24.86% 증가하며 11위를 기록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