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이 연중 최고점에 도달하는 등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반등했지만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3일(현지시간) 신용평가사 피치(Fitch)는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2000억대에 달했던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올초 1380억 달러(한화 약 179조7450억원)까지 감소했으며, 현재 1280억 달러(한화 약 166조7072억원) 수준까지 줄어든 상태다.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영향으로 달러 연동이 깨졌던 USD코인(USDC)과 규제 압박을 받고 있는 BUSD 등의 시가총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사진 = 피치 스테이블코인 시장 평가 / 피치레이팅 사이트피치는 "USDC는 달러 연동 상태를 빠르게 복구했지만 여전히 침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시가총액이 올해 1분기 25%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조적으로 테더(USDT)는 USDC 환매 물량의 약 72%를 가져오면서 같은 기간 시가총액이 12%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테더 시가총액은 8350억 달러로,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을 65.23%까지 높였다.
피치는 상위 10위권 스테이블코인의 종합 월평균 일간 거래량도 2023년 3월 530억 달러(한화 약 68조원)에서 5월 280억 달러(한화 약 36조원)로 급감했다는 점도 언급했다.
한편, 신용평가사는 스테이블코인을 뒷받침하는 '준비 자산'의 유동성은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USDT, USDC 등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와 1:1 교환되지만 준비금은 다양한 자산 유형으로 구성돼 있다.
피치는 "USDT의 준비금 포트폴리오 내 국채와 레포 비중은 1분기 동안 각각 6pp와 5pp 증가해 준비금의 65%와 10%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레포의 경우 미국 장기 국채로 초과 담보돼 있고, 만기 전 수시 상환이 가능하다"며 스테이블코인의 유동성 상태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