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머지 이후 탄소발자국 크게 줄어

| 토큰포스트 기자

이더리움 머지(지분증명 전환) 이후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디지코노미스트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머지 이후 네트워크의 연간 추정 에너지 소비량이 5월 94테라와트아워(TWH)에서 0.01TWH 수준으로 99.95% 감소했다.

현재 이더리움의 연간 추정 탄소발자국도 대서양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페로 제도와 맞먹는 0.01톤(t)으로 줄었다.

단일 이더리움 트랜잭션 전력 소비량은 약 0.03z킬로와트시(KWH), 탄소 발자국은 약 0.02kg으로, 이는 비자카드가 처리하는 44개 거래 또는 유튜브 동영상 3시간 시청에 해당한다.

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 또한 탄소 배출량 제로를 구현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다니엘 배튼 벤처캐피탈리스트 출신 환경 운동가 보고서에 따르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탄소 배출량이 궁극적으로 제로에 도달할 수 있다.

보고서는 포집된 메탄가스를 연료로 활용해 비트코인 채굴에 활용하면 지금의 탄소 배출량을 63%까지 줄일 수 있다고 내다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1.57%가 메탄가스를 활용하면 전체 네트워크의 탄소 집약도를 -4.2% 낮출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일랜드 소재 재생에너지 채굴업체 스킬링 디지털 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은 메탄가스 포집을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1/3을 차지하는 농업 폐가스를 포집해 환경오염을 줄이고 비트코인(BTC) 채굴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8월 세계은행(WB) 산하기관 국제금융공사(IFC)가 토큰화된 탄소배출권 투자 펀드 '탄소 기회 펀드(Carbon Opportunities Fund)'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및 스마트 트랜잭션 플랫폼 치아 네트워크(XCH)와 협력하며, 금융회사 에스퍼레이션과 컬티보가 펀드 전략 및 실행을 주도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펀드는 에스퍼레이션과 컬티보가 선별한 프로젝트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한 다음 치아 기술을 통해 이를 토큰화한 뒤 판매할 예정이다.

현재 해당 펀드에 1000만 달러(한화 약 138억9500만원)가 투입됐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