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 폭탄’을 꺼내들었다. 미국은 지난 4월 5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오는 4월 9일부터는 한국을 포함한 특정 무역국에 대해 최대 25%의 상호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 보호무역주의의 귀환이다. 미국 뉴욕 증시는 이 관세 조치 이후 급락했고, 전 세계 금융시장도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세계화는 다시 흔들리고 있다.
이번 조치가 단순한 선거 전략으로만 치부되기는 어렵다. 미국은 제조업 부활을 넘어서, 무역과 자본, 기술의 흐름 자체를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중국과의 갈등, 대만과의 반도체 공급망 재정비, 국가 안보와 산업 주권이라는 거대한 의제가 그 배경에 놓여 있다. 이미 TSMC는 65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애리조나에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고, 중국은 1조 5천억 달러를 기술 자립에 투입하며 맞불을 놓고 있다. 세계 경제는 다시 전략적 구도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문제는 한국이다.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인 자동차와 전자산업이 미국의 고율 관세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긴급 대응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시장은 냉정하다. 수출로 성장한 국가로서, 외풍에 흔들릴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이번 조치가 다시 한번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세계가 국경 안으로 움츠러드는 가운데,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은 오히려 경계와 정치로부터 벗어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은 발행 주체가 없고, 통제 권력도 없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24시간 작동하는 금융 인프라다.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 정치권의 보호무역 조치, 금융기관의 통제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산이라는 점에서, 그것은 단순한 투기 대상이 아니라 ‘시스템 외’에서 작동하는 전략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제 한국도 묻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어떤 자산을, 어떤 질서를 택할 것인가. 불확실성과 단절의 시대에 한국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명확한 규제 기반과 적극적 육성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단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아닌, 새로운 금융 질서와 주권을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10년, 세계는 자국의 산업을 지키기 위한 경제와 경계를 넘는 자본의 흐름이 병존하는 복합의 시대를 마주할 것이다. 우리는 지금, 그 기로에 서 있다. 선택은 기술이 아닌 미래의 구조에 대한 응답이 되어야 한다. 디지털 자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관세의 시대, 선택받을 자산은 과연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