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에 따른 경제적 리스크를 중앙은행이 선제적으로 해결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16일(현지시간) 시카고 경제클럽 연설에서 파월 의장은 최근 부과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수입품 관세가 생활비 전반에 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는데, 이는 연준의 경기 관리에 있어 *중대한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세가 예상을 훨씬 상회했고, 우리가 상정했던 높은 시나리오보다도 뛰어넘는다”며 중앙은행 차원의 대응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파월 의장은 특히 이번 상황이 연준의 이중 목표, 즉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금리정책으로 연준이 경제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이라는 상반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긴 어렵다”며 금리 인하와 같은 완화정책이 단기간 내 단행될 가능성이 낮다는 뜻을 시사했다.
실제로 시장이 급격히 하락할 경우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파월 의장은 “질서 있는 시장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며 즉각적인 개입을 거부했다. 그는 "시장 변동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라는 구조적 불확실성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보며, 현재로선 이를 이유로 금리를 조정하진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통상적으로 관세는 *일회성 가격 상승*에 그친다는 점에서, 중앙은행은 이를 ‘무시하고 지나가는’ 것이 원칙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경험한 공급망 충격이 이 원칙에 균열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공급 부족이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연결되면서 2022년 미국 전역에서 인플레이션이 폭증했으며, 이번에도 유사한 상황을 반복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번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연준의 역할"이라며, 단기적 인플레이션 압력을 억제하는 데 정책 중심이 맞춰질 것임을 강조했다.
이처럼 연준의 통화정책 방정식이 다시 복잡해진 가운데, 연준 수장의 이번 발언은 금융시장과 투자자들에게 향후 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낮음을 명확히 하는 신호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연준의 긴축적 기조에 변화를 가져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