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州)은행감독협의회 "암호화폐·핀테크 기업, 전국 운영 수월해진다"…단일 감독 규정 발표

| 하이레 기자

송금업에 대한 전국 단일 감독 규정을 통해 디지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암호화폐 기업의 전국 운영이 더욱 수월해질 전망이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주(州)은행감독협의회(CBSB)는 단일 심사를 통해 전국 운영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새 송금업 감독 규정을 내놓을 계획이다.

현재 송금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들은 각 주에서 진행하는 개별 심사를 거쳐야 한다. 미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려면 수십 번 중복 심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기업에 과도한 부담이 되고 있다.

한편, CBSB가 제시한 새 규정은 이러한 주별 심사 대신, 여러 주 감독기관에서 선발된 심사원 그룹이 공동 심사를 진행해 송금업 운영 허가 절차를 단일화·간소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CBSB는 각 주 정부가 은행 감독 업무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위해 구성한 단체다. 미국 50개주, 콜롬비아, 괌, 푸에르토리코 그리고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의 유관기관들이 소속돼있다.

이번 규정은 웨스턴 유니온, 페이팔, 코인베이스, 리플 등 연 1조 달러 이상의 자금을 처리하는 78개 결제 대기업과 암호화폐 기업에 적용된다. 이미 40개 이상 주에서 허가를 취득한 기업은 자동으로 해당 자격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해 존 라이언 CSBS 협회장은 주 당국이 자체 권한을 잃지 않으면서 정보 공유를 통한 업무 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주 감독기관들은 기업에 대한 심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심사를 진행할 권한도 있다"면서 "새 규정은 더욱 강력하고 효율적인 접근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 은행 규제당국인 통화감독청(OCC) 수장 브라이언 브룩스도 "주 허가제가 아닌 국가 허가제를 통해 암호화폐 결제 기업을 관리해야 한다"면서 관련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토큰포스트 | info@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