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4월 24일 21시 30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펀딩비 차익거래 수익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WING으로 나타났다. Binance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취하고 MEXC에서 선물 롱 포지션을 구성할 경우 10.99%의 펀딩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연환산 수익은 약 54,878달러에 이른다.
또 다른 WING의 전략으로는 Bitget에서 현물을 숏 포지션하고 MEXC에서 선물을 롱 포지션으로 보유하는 방식도 동일한 수익 구조를 가진다.
AERGO 역시 유망한 전략 종목으로 평가된다. Bitget에서 숏 포지션, Binance에서 선물 롱 포지션 전략은 10.93% 펀딩비 수익률을 제공하며, 연간 약 54,591달러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같은 전략을 MEXC에서 적용해도 유사한 수익이 가능하다.
INIT는 Bitget과 Binance 간의 포지션 구성으로 8.39% 수익률을 제공하며, 연간 약 41,887달러의 수익이 기대되며, MEXC 활용 전략도 동일한 수익률을 유지한다.
그 외에도 AERGO는 Bitget 내 양방향 포지션 구성으로 5.96%의 펀딩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연간 약 29,734달러의 수익을 예상할 수 있다. NMR 역시 Gate.io에서 선물 롱, Binance 및 기타 거래소에서 숏 포지션을 구성하면 5.79%의 펀딩비 수익으로 연 28,914달러가 기대된다.
이와 같은 전략은 선물 롱 포지션을 유지하며 현물 또는 마진에서 숏 포지션을 취해 펀딩비를 수령하는 방식이다. 펀딩비가 양수일 경우 선물 보유자에게 수수료가 지급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수익성이 높다. 다만 마진 수수료, 전송 지연, 슬리피지 등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단기 전략으로 운용 가능한 구간이 등장하고 있다.
최고·최저 펀딩비 / 데이터맥시플러스
이 시각 최고·최저 펀딩비 종목
🔼 최고 펀딩비 상위 5종목
▲Gate.io의 LINA(0.00207)
▲Gate.io의 ZBCN(0.00141)
▲Bybit의 MANEKI(0.00091)
▲MEXC의 MANEKI(0.00091)
▲Gate.io의 DODO(0.00088)
🔽 최저 펀딩비 하위 5종목
▲Gate.io의 LINA(-0.06946)
▲Gate.io의 ZBCN(-0.04801)
▲Gate.io의 DODO(-0.00111)
▲Bybit의 MANEKI(0.00029)
▲MEXC의 MANEKI(0.00029)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