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닷펀 밈코인 토큰 개발자들, 시장 조작으로 1.5만 SOL 부당이득 챙겨

| 이준한 기자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에서 토큰 개발자들이 자신의 코인을 구매하는 스나이퍼 지갑에 자금을 제공하는 시스템적 시장 조작이 발생했다. 이는 플랫폼 내 1만5천 개 이상의 토큰 출시에 영향을 미쳤다.

21일(현지시간)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파인 애널리틱스(Pine Analytics)가 발표한 새 보고서는 펌프닷펀(Pump.fun)에서 체계적인 시장 조작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스나이핑은 펌프닷펀의 모든 출시 활동 중 최대 1.75%를 차지한다.

"우리의 분석은 이 전술이 희귀하거나 주변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난 달에만 1만5천 개 이상의 출시와 4,600개 이상의 스나이퍼 지갑, 1만400개 이상의 개발자가 관련되어 이 방법을 통해 1만5천 SOL 이상의 실현 이익이 추출됐다. 이 지갑들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성공률(스나이핑의 87%가 수익성이 있었음), 깔끔한 출구, 구조화된 운영 패턴을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펌프닷펀의 솔라나 밈코인 개발자들은 일관된 패턴을 따른다. 그들은 하나 이상의 스나이퍼 지갑에 자금을 제공하고 다가오는 토큰 출시에 대한 사전 통지를 한다.

이 지갑들은 첫 번째 블록에서 토큰을 구매한 다음 거의 즉시 청산한다. 85%는 5분 이내에, 90%는 단 하나나 두 개의 스왑 이벤트에서 판매된다.

펌프닷펀 밈코인 개발자들은 이 전술을 악용해 토큰에 대한 즉각적인 수요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사전 매도를 인지하지 못하는 소매 투자자들은 종종 스나이핑 후 이러한 토큰을 구매하며, 이는 개발자들에게 불공정한 이점을 준다. 이는 시장 조작에 해당하며 플랫폼에 대한 신뢰를 약화시킨다.

파인 애널리틱스는 진정한 스나이퍼를 식별하기 위해 방법론을 신중하게 조정해야 했다. 펌프닷펀의 밈코인 출시 중 50%가 스나이핑과 관련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무차별 공격 방식'을 사용하는 봇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개발자 지갑과 직접적인 연결이 없는 스나이퍼를 필터링함으로써, 회사는 프록시와 일회용 지갑을 통해 자신의 흔적을 감춘 프로젝트를 놓쳤다.

즉, 밈코인 커뮤니티는 펌프닷펀에서의 체계적인 남용에 대한 적절한 방어책이 없다. 플랫폼이 반복 범죄자와 의심스러운 프로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지만, 적응형 대응책은 이를 무력화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조치를 요구한다.

불행히도,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밈코인 스나이핑은 너무나 체계적이어서 펌프닷펀은 진정한 헌신으로만 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분석가들은 자원 추출보다 투명성에 보상을 주는 온체인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최선의 장기적 솔루션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변화는 진정으로 획기적일 것이며, 밈코인 부문은 이를 견디지 못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