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사상 첫 3,400달러 돌파…비트코인 8만7000달러, 트럼프 관세 발언 이후 최고

| 연합뉴스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400달러를 넘었다. 암호화폐 비트코인도 8만7000달러를 돌파하며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2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6월물 금 선물 가격은 한국시간 오후 3시 45분 기준 전장보다 2.27% 오른 온스당 3,404달러를 기록했다. 금 현물 가격도 장중 3,393.34달러까지 오르며 최고치를 경신했고, 오후 3시 58분에는 3,391.96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금값은 29% 넘게 상승했고, 최근 10거래일간 저점 대비 14% 이상 올랐다. 상승 배경으로는 미국의 관세정책과 경기 침체 우려, 달러화 약세,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자금 유입 등이 꼽힌다. 실제로 금 ETF 보유 규모는 12주 연속 증가해 2022년 이후 가장 길게 늘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중반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3,500달러선이 주요 목표가가 될 수 있지만 단기간 돌파는 어려울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공개 압박한 점도 시장 불확실성을 키웠다. 파월 사임 가능성이 거론되며 중앙은행 독립성과 관련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달러 가치도 크게 하락 중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8.3까지 떨어져 2022년 이후 가장 낮았다. 이날 엔/달러 환율도 140.79엔으로 작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찍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글로벌 자금이 금과 같은 안전자산 또는 엔화와 유로화 등 다른 통화로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독일 국채 가격 역시 오름세다.

비트코인 가격 역시 큰 폭으로 올라 눈길을 끈다. 암호화폐 시황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3.01% 오른 87,502.5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최고 수준이다.

한편 이날 아시아 주요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와 대만 자취안 지수는 내려갔지만 한국 코스피와 중국 상하이는 소폭 상승했다. 홍콩 증시는 부활절로 휴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