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테더 리스크' 딛고 자체 스테이블코인 추진 본격화

| 김민준 기자

러시아 재무부 고위 관계자가 미국 당국과 테더(Tether)의 제재로 인해 발생한 가란텍스(Garantex) 관련 지갑 동결 사태를 계기로 독자적인 스테이블코인 개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4월 16일 로이터와 러시아 국영통신 타스(TASS)에 따르면 오스만 카발로예프(Osman Kabaloev) 러시아 재무부 재정정책국 부국장은 정부가 테더(USDT)와 유사한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험적 법률 제도하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제한하지 않고 있지만, 최근 사건은 우리에게 이 수단이 리스크를 내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며, “USDT와 유사하거나 다른 통화에 연동된 내부 수단 개발 필요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미국 법무부가 독일, 핀란드 당국과 협력해 3월 6일 러시아 제재 대상 거래소 가란텍스와 관련된 도메인을 동결한 조치를 언급하며, 이와 같은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당국은 가란텍스가 2019년 이후 약 960억 달러(약 140조 1,600억 원)에 달하는 불법 자금 세탁에 연루됐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는 약 2,700만 달러(약 394억 2,000만 원) 상당의 USDT를 동결하면서 가란텍스는 출금 등 모든 운영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미 2022년 4월, 가란텍스가 자금세탁에 관여한 혐의로 제재를 부과한 바 있다.

러시아는 스테이블코인을 자국 내 법적 실험 수단으로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었으나, 이번 사태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암호화폐 인프라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스테이블코인을 단순 결제 수단이 아닌 국가 차원의 금융안보 자산으로 재조명하며, 국제 제재에 대응할 수 있는 내부 인프라 강화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