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레이어2가 독?… 가격 하락에 구조적 위기론

| 김민준 기자

이더리움(ETH)의 레이어2(L2) 확장이 이더 자체의 가치 상승에 역효과를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바이낸스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더리움 메인넷의 확장성과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L2 네트워크들이 오히려 L1 생태계의 수익 기반을 잠식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솔라나(SOL)와 BNB 스마트체인(BNB Chain) 등 경쟁 블록체인이 디파이 거래량과 수수료 수익에서 이더리움의 우위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된 원인으로는 높은 거래 수수료, 개발자 및 유동성 분산, 그리고 레이어1(Value accrual to L1)로의 수익 귀속 감소 등이 꼽혔다.

특히 최근 이더의 가격 흐름은 이러한 구조적 우려를 반영하는 듯하다. 4월 7일 기준 ETH 가격은 $1,410(약 2백 5만 9천 원)까지 하락해 2023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중순 $4,100(약 598만 6천 원) 근처를 지나며 최고치를 찍은 이후 4개월간 약 61% 이상 하락한 수치다.

이더리움은 현재 '팩트라(Pectra)'와 '후사카(Fusaka)'라는 두 가지 업그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팩트라는 올 5월 7일 메인넷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테이킹 효율과 L2를 위한 데이터 처리 능력 향상이 주요 목표다. 후사카는 2025년 출격 예정으로 EIP-7594를 통해 데이터 레이어 확장 및 스마트컨트랙트 구조 효율화를 중심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그러나 두 업그레이드 모두 당장의 이더 가치 회복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어려울 것으로 평가된다.

보고서는 "이더리움의 L2 확장이 장기적으로 스케일링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주체 간 인센티브 정렬이 미흡할 경우 ETH 자산 자체의 가치 축적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솔라나와 BNB 체인 등 경쟁 플랫폼이 데이터 레이어 및 블록공간 공급자로서 부상 중인 만큼, 이들과의 블록 공간 경쟁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리서치는 해법으로 ‘베이스드 롤업(based rollup)’ 모델을 제시했다. 이는 아비트럼(Arbitrum)이나 옵티미즘(Optimism) 등 현재의 독립 L2와 달리, 더 많은 수수료를 메인넷에 귀속시켜 ETH 가치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 공간(blockspace)'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L2들이 여전히 이더리움을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로 선택한다면, ETH 자산에 수익이 다시 유입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L2들과의 수수료 공유, MEV 수익 배분, 프로토콜 차원의 통합 등 구조적 인센티브 조정이 병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