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 시나리오… BTC 100만 달러 간다?

| 김민준 기자

비트코인 싱크탱크인 비트코인정책연구소(BPI)의 고위 관계자가 미국 정부가 100만 개 비트코인(BTC)을 매입할 경우 가격이 100만 달러(약 146억 원)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자크 샤피로(Zach Shapiro) BPI 정책 책임자는 최근 비트코인 매거진 팟캐스트에 출연해 "미국이 100만 개에 달하는 비트코인 매입을 공식 선언한다면 전 세계적으로 지각 변동 같은 충격이 올 것"이라며 "가격은 단기간에 급등해 1BTC당 100만 달러 수준으로 향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현직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가 3월 7일 서명한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및 디지털 자산 비축 명령이 시장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 대한 평가와 함께 나왔다. 해당 명령은 재무장관과 상무장관에게 국민 세금의 추가 부담 없이 예산 균형을 맞춘 비트코인 확보 전략을 수립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매슈 파인스(Matthew Pines) BPI 사무국장은 "만약 트럼프가 미국을 '비트코인 초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키고자 한다면, 그것은 곧 미국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으로 측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맞물려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 상원의원은 3월 12일 미국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100만 BTC 이상으로 확대하기 위한 BITCOIN 법안을 재발의했다. 이 법안은 국가 차원에서의 디지털 자산 비축 전략을 뒷받침하며 미국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내세우고 있다.

한편 파인스 국장은 비트코인을 예산 중립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관세 수입과 기타 비과세 수입원을 활용하는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연방정부가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할 수 있는 재원으로는 수입 관세, 석유·가스 임대의 로열티, 연방 토지 매각, 금 및 기타 디지털 자산 판매 수익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10% 기준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함으로써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최소한의 관세를 도입했다. 동시에 상호관세 원칙에 따라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동일한 세율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방침도 밝히며, 이에 따라 수입 관세 수익이 디지털 자산 비축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열렸다. 다만 일각에서는 관세 정책의 유동성이 높아진 데 따른 시장 혼란을 우려하고 있다.

업계는 이러한 정책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장기적 비트코인 전략과 어떻게 접목될지를 주목하면서, 국가 단위의 비트코인 투자 가능성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