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 상대로 관세 125% 전격 인상…암호화폐 채굴 판도 흔든다

| 김민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해 90일간 보복 관세를 유예하고, 보복이 없을 경우 관세율을 10%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보복 관세율을 기존보다 대폭 상향해 125%까지 인상했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세계를 착취하던 시대는 지났다"고 밝히며 중국을 정면 겨냥했다.

이번 발표 이후 S&P500 지수는 약 7% 가까이 급등하며 시장의 높은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반영했다. 장기화된 무역전쟁의 가능성은 미국 내 채굴기 수요 축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암호화폐 채굴 시장에도 파급효과를 미칠 전망이다.

채굴 기업 해시랩스(Hashlabs)의 최고경영자 야란 멜레루드(Jaran Mellerud)는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은 특히 미국 외 지역 채굴자에게 가격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시장 수요가 크게 위축될 경우, 채굴기 제조사들은 남는 재고를 해외에 저가로 판매할 수밖에 없다"며, 이로 인해 비미국권 채굴자들이 해시레이트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세계 주요 채굴기 제조사인 비트메인(Bitmain), 마이크로BT(MicroBT), 카나안(Canaan) 등이 이번 관세 강화의 직격탄을 맞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기업은 과거 2018년 트럼프의 25% 대중 관세를 피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으로 생산 거점을 이전했던 전례가 있다.

멜레루드는 "설령 향후 관세가 철회되더라도, 이미 손상된 장기 계획에 대한 신뢰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한편, 아르헨티나 하원은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 대통령의 '리브라(LIBRA)' 밈코인 스캔들을 정식 조사하기로 의결했다. 총 228명의 하원 의원 중 128명이 찬성표를 던졌으며, 이는 상원에서 표결이 무산된 동일 건이 하원에서는 통과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논란의 중심은 밀레이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LIBRA를 직접 홍보한 점이다. 그의 380만 명의 팔로워와 대통령직이라는 공적 위상을 활용한 이 마케팅 이후, 리브라는 한때 $5까지 상승하며 시가총액 40억 달러(약 5조 8,400억 원)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프로젝트는 '러그풀(Rug-pull)' 사기로 의심받으며 급격히 무너졌고, 4만 명 이상의 투자자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헨티나의 시민단체 '시민권 관찰소'는 밀레이 대통령이 리브라 프로젝트 유관 인물들과 공모해 불법적인 이득을 취했다고 주장했다. 민사소송을 제기한 변호사 조나탄 발디비에조(Jonatan Baldiviezo)는 "대통령의 직접적 개입이 없었다면 이 규모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엄중한 조사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