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 폭탄에 비트코인 요동… 암호화폐, 안전자산 될까

| 김민준 기자

미국이 전 세계를 겨냥해 관세 정책을 확대 적용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대대적인 수입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 가격은 이틀간 두 자릿수 급등락을 기록했다. 업계는 지정학적 불확실성을 악재로 보고 있으면서도, 이런 환경이 오히려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수용을 앞당길 수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 운용사 웨이브 디지털 애셋스(Wave Digital Assets)의 공동 창립자 겸 CEO 데이비드 시머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클수록 기관 투자자들은 디지털 자산을 분산 전략으로 고려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전통 금융망이 지정학적 리스크로 얽히는 현실에서 블록체인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4월 7일 발표된 바이낸스(Binance) 보고서도 같은 맥락에서 비트코인이 자산 간 차별화로서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글로벌 시장 불안 속에서도 비트코인의 하락폭이 제한적이었고, 금과 주식보다 나은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4월 9일 일부 수입 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지만, 동시에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25%까지 관세를 인상하겠다고 재차 공언했다. 해당 발표 직후 미국 증시 대표 지수인 S&P500이 8% 이상 반등했고,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도 같은 폭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니콜라스 로버츠헌틀리 콘크리트앤글로우파이낸스(Concrete & Glow Finance) CEO는 "디파이(DeFi)는 신용 접근, 수익 창출, 자본 이동 측면에서 국경을 초월한 중립적 대안을 제시한다"며 "현재 같은 지정학적 혼란은 디파이의 전략적 가치를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암호화폐도 여전히 변동성 높은 고위험 자산이라는 점은 유효하다. 블록체인 분석기관 넨센(Nansen)의 오렐리 바더레 연구원은 "전반적인 매도세가 지속되면 암호화폐는 여전히 고베타 리스크 자산처럼 움직일 수밖에 없다"며,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연동성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