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미·중 관세 전쟁 속 '위안화 절하 헤지 수단' 부상

| 손정환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된 가운데, 비트멕스(BitMEX) 공동 창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가 비트코인의 강세 가능성을 언급하며 눈길을 끌고 있다. 그는 4월 8일 자신의 SNS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추가 관세가 인민원 평가절하로 이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자금 유출이 비트코인(BTC) 시장의 새로운 촉매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헤이즈는 "중국이 인민원 가치를 낮추면, 이를 통해 자국 자본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분산될 수 있다"며 "2013년, 2015년에 이미 이러한 흐름이 발생했으며, 2025년에도 재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중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해 군사적 또는 무역적 방법이 아닌 통화정책 차원에서 대응하는 것이 글로벌 시장에 덜 충격적인 방식이라며, '약한 인민원'이 현실적인 선택지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8일 밤, 중국산 전 제품에 대해 누적 104%의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 대중 관세 체계에 더해져 단계적으로 강화돼온 조치로, 중국은 이에 대해 50%의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상호 관세 전면전은 글로벌 증시 불안을 야기했고, 비트코인을 포함한 위험자산 시장 전반에도 불확실성 리스크를 드리운 상태다.

한편 억만장자 투자자 레이 달리오(Ray Dalio)는 이번 관세 조치가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닌, 세계 경제 시스템과 지정학적 질서 구조의 붕괴를 상징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의 글로벌 질서는 과도한 부채, 생산성 격차, 정치적 양극화, 가치관의 충돌, 지정학적 갈등이라는 5가지 주요 힘에 의해 압박받고 있다”며, 이들 간 상호작용이 예측할 수 없는 시스템 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달리오는 또 미국과 중국의 금융상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조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번 무역 충돌을 단순한 관세 정책으로만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 뉴스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며, 투자자들이 이번 조치가 가져올 글로벌 질서 변화의 방향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미중 간 관세 전쟁이 재점화되고, 중국의 위안화 절하가 거론되는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은 주요 분기점에 서 있다. 헤이즈와 달리오라는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두 인물의 분석이 공통적으로 결론 내리는 바는, 비트코인이 새로운 글로벌 리스크 헤지 수단으로서 다시금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