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탄에 비트코인 2,400달러 급락…가상자산 청산액 419억 돌파

| 손정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수입 관세를 104%까지 높이겠다고 발표한 직후,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금융시장이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하루 만에 약 287만 달러(약 419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투자자들의 충격이 컸다.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관세에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하며, 총 104%의 미국산 중국 수입품 관세가 9일부터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단행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중국 상무부는 이에 대해 “잘못 위에 잘못을 더한 조치”라며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내놨다.

이번 발표는 글로벌 금융시장이 잠시 안정을 되찾으려던 시점에 나온 것이다. 유럽 증시는 14개월 만의 저점에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고, 뉴욕 증시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계획을 완화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속에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트럼프의 ‘초강경 관세’ 발표 직후 비트코인은 오전에 한때 8만 달러를 회복한 뒤 급락세로 돌아서며 7만6,600달러까지 후퇴했다. 시장 분석업체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약 9만9,000명의 트레이더들이 $287,000,000 규모의 포지션을 잃었다. 이처럼 암호화폐 시장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중국이 이번 협상의 타결을 간절히 원하고 있으며 연락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중국과의 협상은 당장 우선 순위가 아니라며 일본, 한국 등 동맹국과의 논의가 먼저라고 밝혔다.

이번 관세 충돌이 단기적으로 끝나지 않을 경우, 더 큰 시장 변동성과 자산가치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당분간 전통 금융시장의 혼란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번질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