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코인 뉴스 분석 투자에 활용… '매수·매도' 신호 포착법 주목

| 김민준 기자

암호화폐 시장의 흐름은 순식간에 바뀌기 때문에 정보의 속도와 해석 능력이 생존을 좌우한다. 특히 트레이더에게 뉴스는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투자 판단의 핵심 도구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챗GPT(ChatGPT) 같은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해 이러한 뉴스에서 '매수' 또는 '매도' 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실제 매매 전략에 응용하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

챗GPT는 암호화폐 관련 뉴스 제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매 신호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거래 판단을 돕는다. 예를 들어, “파이네트워크(Pi Network) 가격이 물량 압박으로 역대 최저치에 근접”이라는 뉴스가 뜬다면, 이를 챗GPT에 분석하도록 요청해 현재 시장의 리스크나 기회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파이네트워크에 대한 뉴스 분석에서는 1억 2,660만 PI 토큰이 추가로 시장에 유통되며 가격 하락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나왔다. 이는 매도 신호로 해석되지만, 장기 투자자에게는 과매도 구간에서 매수 기회로 보일 수도 있다.

챗GPT를 활용한 거래 전략의 핵심은 '프롬프트 설계'에 있다. 질문이 구체적일수록 AI의 응답도 유용하고 풍부해진다. 단순한 매수/매도 판단 외에도, 추가 질문을 통해 리스크 요인이나 과거 유사 상황에서의 가격 반응 같은 보조 정보를 AI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파이네트워크의 과거 공급 증가 시점과 가격 반응을 묻는 식이다. 이처럼 단계별 분석을 통해 단순화된 시그널이 아닌 정교한 판단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다만 뉴스만으로 거래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하다. 개별 뉴스는 broader market context, 즉 비트코인(BTC)의 흐름이나 알트코인 전반의 모멘텀 같은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 속에서 해석돼야 정확도가 높다. 예컨대 비트코인이 강세를 보이는 국면에서도 파이네트워크가 기술적 약세와 유동성 부족, 주요 거래소 미상장 등의 이유로 따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챗GPT는 이런 상황에서는 강세를 보이는 비트코인이나 알트코인 선호가 더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또한 챗GPT는 분석 도구일 뿐, 모든 매매 판단을 자동으로 성공시켜주는 만능은 아니다. 고도화된 분석에는 차트 분석, 온체인 데이터, 정책 리스크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고려돼야 한다. 따라서 챗GPT 활용 시에는 백테스트, 모의투자, 거래소 API 연동 시 보안 관리 등의 점검도 필수다. 특히 암호화폐 사기로 2024년 한 해에만 약 124억 달러(약 18조 1,000억 원) 피해가 발생한 만큼, AI 사용 역시 신중해야 한다.

이와 같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선 뉴스 1건에 의존하기보다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종합 분석해야 하며, AI의 분석 결과도 차트, 커뮤니티 여론, 거래량 등의 외부 지표와 비교하며 신뢰도를 검증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아울러 항상 손실을 감안한 리스크 관리 기법을 병행하고, 거래 금액도 초기에는 작게 시작해 AI 응답의 성능을 신중히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챗GPT 같은 AI는 수많은 암호화폐 뉴스 속에서 유의미한 투자 기회를 빠르게 선별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보조 도구이다. 그러나 이를 맹신해서는 안 되며, 궁극적인 의사결정은 시장에 대한 통찰, 리스크 인식, 자산 배분 전략을 겸비한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