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S&P500: +0.14% 나스닥: +0.16% 다우: +0.30%
[비탈릭, 이더리움 지분증명 개편 제안... "슬롯당 서명 처리 접근방식 개선 필요"]
이더리움(ETH)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공식 채널을 통해 이더리움의 지분증명(PoS) 개편을 제안했다. 그는 "검증자 서명(Validator Signatures) 처리에 대한 이더리움의 접근 방식을 개선하길 원한다. 현재 이더리움은 약 895,000개의 유효성 검사기 개체를 포함해 매우 많은 수의 유효성 검사기를 지원하고 있다. 이는 탈중앙화를 강화해 더 많은 개인 및 단체가 스테이킹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히지만 슬롯당 엄청난 수의 서명을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 이에 따라 여러 서브넷의 서명 작업 최적화 등 기술적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슬롯당 더 많은 서명을 처리해야 한다는 기대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美 암호화폐 로비그룹 CEO "BTC, 2029년까지 100만 달러 도달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로비그룹 디지털상공회의소(Chamber of Digital Commerce)의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페리안 보링(Perianne Boring)이 CNBC와의 인터뷰에서 "2029년에 비트코인이 1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트코인의 공정 가치는 이미 개당 10만 달러에서 21만 달러 사이"라며 "현재 미국 가구의 약 40%가 이미 어떤 형태로든 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다. 2029년까지 90% 채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90% 채택이 이루어질 경우 제한된 비트코인이라는 특성때문에 개당 100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VC GBA 캐피털, $100억 규모 웹3 펀드 조성 계획]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 기반 웹3 벤처 캐피털 GBA 캐피털(GBA Capital)이 100억 달러 규모의 웹3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GBA 캐피털 웹3 펀드는 가상현실, 메타버스,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에 초점을 맞춘 스타트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GBA 캐피털은 디지털 경제 분야 투자 및 인큐베이팅에 중점을 둔 기업으로, 중국 국영 엔지니어링 연구소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상태다.
[암호화폐 자산 운용사 ETC 애널리스트 "ETH, 내년 BTC 능가 가능성 有"]
암호화폐 자산 운용사 ETC 그룹 연구 책임자인 안드레 드라고쉬(André Dragosch)가 더 블록(The Block)과의 인터뷰에서 “2024년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을 능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비해 상대적 저조한 실적을 냈다. 이것이 반전될 가능성은 이더리움의 기술 발전과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서의 입지에 달려있다. ETH 자동 소각 메커니즘(EIP-1559)으로 공급이 감소되고 ETH 스테이킹 수익률 매력도가 높아진다면 가격 상승이 촉진될 것이다. 앞으로 12개월 동안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보다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신 "2024년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 연방 아닌 주정부 주도"]
블록웍스가 2024년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는 연방이 아닌 주정부 기관이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디어는 "주 차원의 주지사 및 입법부가 암호화폐 규제 관련 의미있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며 "앞서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Gavin Newsom)은 암호화폐 규제를 위한 라이선스 법안에 서명했다. 이는 디지털금융 자산법(DFAL)으로, 암호화폐 기업의 규제 라이선스 취득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오는 2025년 시행될 예정이다. 뉴저지 법무장관 맷 플랫킨(Matt Platkin) 또한 암호화폐 규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현재 뉴저지 주의회는 법무부 산하 법무 및 공공안전부에 암호화폐 규제를 포함시키는 법안 통과여부를 논의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3년은 국가 차원의 암호화폐 정책을 이룬 중추적인 해였다. 2024년에는 기업과 투자자 모두가 관련 더 많은 영향을 겪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분석 "도널드 트럼프, 이더리움 매도 정황"]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 인텔리전스(ARKM)가 X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가 이더리움을 팔고 있는 것 같다. 3주 전, 그는 몇 달 동안 트럼프 NFT 로열티를 쌓은 후 코인베이스에 이더리움을 보내기 시작했다. 그의 잔액은 최대 400만 달러였으며, 예치금을 기준으로 지금까지 1,075 ETH를 240만 달러에 현금화했다"고 전했다.
[美 하원의원 "내년, 게리 겐슬러 해고에 좋은 시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워처구루에 따르면 워런 데이비슨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이 "2024년은 게리 겐슬러를 해고하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부패에 대한 책임을 묻기에 좋은 시기"라고 말했다.
[BNB체인 "opBNB 메인넷 혼잡...트랜잭션 지연 유의"]
BNB체인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opBNB 메인넷이 현재 약간의 혼잡을 겪고 있다. 사용자들은 트랜잭션 지연을 경험할 수 있으며, BNB 체인 코어 팀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반등, 전체 암호화폐 시장 회복세 확대 증거"]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의 반등은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세가 확대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 그레이스케일은 "이더리움은 올해 약 80%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비트코인 및 기타 특정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체인에 비해 저조한 성과를 거뒀다. 데이터에 따르면 크립토섹터 지수는 이더리움의 상승분을 초과하는 94% 상승을 보여줬으며, 비트코인 대비 이더리움 가격 비율은 2021년 이후 최저수준에 도달했다. 이더리움의 회복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은 현재 6.37% 오른 2,365.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 폴리곤 기반 NFT 민팅 예정]
폴리곤(MATIC) 공동 설립자 샌딥 네일왈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스타벅스 코리아가 폴리곤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민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경영진 "암호화폐 시장, 내년에 풍년 이룰 것"]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체인뷰 캐피털(Chainview Capital)과 알트탭 캐피털(Alt Tab Capital)의 경영진들이 "2023년에 완만한 성장을 이룬 뒤 2024년에 풍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462개의 암호화폐 헤지펀드는 평균 44%의 수익을 거뒀다. 2022년에는 평균 50% 이상의 손실을 기록했었다. 특히, 주요 플레이어인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 체인뷰 캐피털(Chainview Capital), 스토카 글로벌 LLP(Stoka Global LLP)의 경우 올해 각각 80%, 100%, 268%의 수익을 거뒀다.
[BNB 그린필드 테스트넷 만주 하드포크, 내년 1월 4일 예정]
BNB체인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BNB 그린필드 테스트넷의 만주(Manchurian) 하드포크가 1월 4일 오후 4시(한국시간)으로 예정돼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블록높이 3,922,485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BNB체인은 그린필드 기술 로드맵을 공개하며 "체인 성능 향상, 개발 환경 간소화, 멀티체인 플랫폼 등이 포함됐다"고 전한 바 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