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뉴스브리핑] BTC 현물 ETF, 8거래일 연속 순유입...블랙록 강세 外

| 강수빈 기자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3596만, 청산 비율: 롱 62.38%

ETH 청산 규모: $3150만, 청산 비율: 롱 57.54%

ALPACA 청산 규모: $1302만, 청산 비율: 숏 76.67%

BTC 현물 ETF 2,476억원 순유입...8거래일 연속

트레이더T에 따르면 4월 29일(현지시간) 미국 BTC 현물 ETF에 1억7,300만 달러(약 2,476억원)가 순유입됐다. 8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서만 2억1,695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 624만 달러, 비트와이즈 BITB에서 2439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에서 1332만 달러가 순유출 됐다. 나머지 ETF에는 순유출입이 없었다.

카돈 캐피털, 비트코인 매입 위해 부동산 기반 펀드 조성

미국 부동산 투자사 카르도네 캐피털(Cardone Capital)이 비트코인 매입을 위해 10개 부동산 자산으로 구성된 신규 펀드를 조성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카르도네 캐피털은 해당 펀드를 통해 총 1,000 BTC를 확보할 계획이다.

메타플래닛, 전략 고문에 비트코인 매거진 CEO 임명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편입한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미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매거진 CEO 데이비드 베일리(David Bailey)를 전략 고문 위원회 멤버로 공식 임명했다고 X를 통해 전했다. 현재 메타플래닛은 5,000 BTC를 보유 중이다.

"BTC 사지마" IMF 압박에도 엘살바도르 정부 마이웨이

국제통화기금(IMF) 압박에도 불구하고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 매수 원칙을 지키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엘살바도르 경제부 장관 마리아 루이사 하이엠(Mrs. María Luisa HAYEM)은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은 꾸준한 비트코인 매수 원칙을 유지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 과거에도, 지금도 비트코인 매수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다. 정부는 물론 민간 분야에서도 BTC를 축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伊 중앙은행 "암호화폐 성장, 투자자·금융 안정성에 위험 초래"

이탈리아 중앙은행이 보고서를 발표, "비트코인 등 가격 변동성이 높은 암호화폐의 성장은 투자자 뿐만 아니라 금융 안정성에도 잠재적 위험을 초래한다"고 진단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보고서는 암호화폐의 변동성 및 경제와의 광범위적 적용 사례 증가 등을 지적했다. 또한 비금융 기업이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추세에 대해 언급하며 "비트코인이 주가를 지탱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인해 시장 가격 변동성에 익스포저(노출)된다"고 전했다.

前 미 하원 금융위원장 "올여름, 암호화폐 입법의 분기점 될 것"

더블록에 따르면 패트릭 맥헨리(Patrick McHenry) 전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자산(암호화폐) 정책은 이제 본격적인 실행 국면에 들어섰다. 올여름은 암호화폐 입법의 분기점이 될 것이며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 시장 구조에 관한 법안 처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입법이 뜨겁게 진행되는 위키드 핫 서머가 될 것(wicked hot summer)”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로스틴 베넘(Rostin Behnam)은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준비금 대부분이 미 국채에 연동돼 있다는 점에서 규제 측면에서 우려가 크다. 암호화폐 시장 구조법안보다는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이 비교적 빠르게 통과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블랙록, $1,500억 단기채 펀드에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지분 클래스' 도입 추진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1500억 달러 규모 단기 채권펀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지분 클래스(DLT Shares)를 도입하기 위한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아시스 재단, AI 트레이딩 에이전트 출시...온체인 검증 가능

레이어1 블록체인 오아시스(Oasis, ROSE) 프로토콜 재단이 토큰2049 행사에서 온체인 검증 가능 인공지능(AI) 트레이딩 에이전트 'WT3'를 공개했다. 재단은 "이 솔루션은 자율적으로 거래를 수행하면서 그 방식을 온체인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장점이다. 기존 AI 시스템은 대부분 블랙박스처럼 작동해 거래 수행 방식을 외부에서 검증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WT3는 기밀 컴퓨팅(Confidential Computing)과 온체인 검증을 결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아울러 WT3 수익의 50%는 ROSE 토큰 바이백 및 소각에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홍콩 웹3 스타트업 터미널3, $800만 투자 유치

홍콩 웹3 스타트업 터미널3(Terminal 3)가 시드 라운드에서 800만 달러 규모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이번 라운드는 일루미네이트 파이낸스와 CMCC 타이탄 펀드가 주도했으며 애니모카브랜드, 프로그레션 펀드, IDG 블록체인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사용자 보호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개발에 사용될 방침이다.

애니모카·오픈캠퍼스, 펜슬파이낸에 $1000만 투자

NFT 및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Animoca Brands)와 웹3 교육 프로토콜 오픈캠퍼스(EDU)가 탈중앙화 학자금 대출 프로토콜 펜슬 파이낸스(Pencil Finance)에 1000만 달러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온체인 학자금 대출 담보로 활용될 예정이다.

UNI 초기 투자자, $4707만 UNI 코인베이스 프라임 이체

2020년 9월 900만 UNI를 수령한 초기 투자자 주소가 1시간 전 전량을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했다고 앰버CN이 전했다. 해당 물량 가치는 4,707만 달러 상당이다.

트럼프 운영 트루스소셜, 유틸리티 토큰 출시 고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기업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이 암호화폐 출시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트루스소셜은 29일(현지시간) 주주들에 서한을 발송, 보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트루스 월렛과 함께 유틸리티 토큰 도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토큰은 우선 트루스+ 구독 비용 결제에 사용되며, 이후 트루스 서비스 및 상품 결제에도 적용된다는 설명이다. 이와함께 기업은 주식과 암호화폐를 결합한 ETF 출시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美 SEC 알트코인 ETF 심사 결과 10월 발표 예상"

미 증권거래위윈회(SEC)의 암호화폐 ETF 심사 결과가 올 10월쯤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는 "대부분의 알트코인 ETF 심사 최종 마감일은 올해 10월 이후다. SEC가 기타 72개 암호화폐 ETF 심사기한을 추가 연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BNB 기반 WLFI 스테이블코인, 시총 $10억 돌파

BNB체인 기반 USD1 시가총액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크립토슬레이트가 전했다. USD1은 트럼프 일가가 주도하는 디파이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이다. 이더리움 기반 USD1까지 합치면 전체 시가총액은 10.2억달러 상당이다.

타이거리서치 "웹3 투명성, 절대 포기해선 안되는 가치"

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사 타이거리서치가 최근 '투명한 블록체인의 아이러니: 신뢰를 만들고 무너뜨리는 기술' 보고서를 통해 "웹3에서 성공하려면 정보를 숨기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공개되어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튼튼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월러스, 퍼지펭귄과 파트너십 체결

수이 기반 탈중앙화 스토리지 월러스(WAL)가 공식 채널을 통해 퍼지펭귄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퍼지펭귄은 자체 디지털 콘텐츠를 월러스 기반 파일 관리 레이어 터스키(Tusky)를 통해 저장, 관리할 예정이다. 월러스 재단 임원 레베카 시몬즈는 “월러스는 퍼지펭귄의 글로벌 콘텐츠 유통과 IP 확장에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ETH 온체인 지표, 여전히 약세 신호 지속"

비인크립토가 복수 애널리스트들을 인용해 “이더리움(ETH)이 일주일간 10% 이상 상승하며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주요 온체인 데이터에서는 약세 신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매체는 “ETH의 시장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ADX(Average Directional Index)는 이틀 전 39에서 현재 24.9로 떨어진 상태다. ADX가 25를 상회하면 강세 편향 상태를 의미하지만 2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약세 흐름 또는 횡보 국면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방향성 지표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매수세를 나타내는 +DI는 현재 22.71로 3일 전 31.71에서 지속 하락 중이다. 반면 매도 압력을 나타내는 -DI는 현재 17.68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ETH의 매도 압력이 매수세보다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ETH의 주요 저항선은 1,828 달러 수준으로 이를 돌파할 경우 최대 2,320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하단 지지선인 1,749 달러를 이탈한다면 1,689 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는 조정이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 "비트코인 여전히 저평가 구간...중기 강세 전망 유지"

코인텔레그래프가 피델리티 디지털 애셋 보고서를 인용해 비트코인은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 있으며 중기적 관점에서 강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현재 BTC는 ‘낙관적 구간’에 진입했다. BTC 온체인 지표인 야드스틱(Yardstick) 차트를 보면 올해 1분기 해당 지표는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는 BTC가 신고가를 향한 상승 흐름을 보일 수 있는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BTC 장기 보유자들 또한 보유 비중을 줄이기보다 유지하거나 늘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달러 약세도 이어지면서 BTC 등 위험 자산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단, BTC가 급등한 이후 블로우 오프 탑(blow-off top, 급등 후 급락 반전)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IOTA 입출금 일시 중단

바이낸스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으로 5월 5일 15시(한국시간) IOTA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日 패션 기업, 35 BTC 추가 매입

일본 패션 기업인 아납(ANAP)이 35 BTC를 추가 매입했다고 비트코인매거진이 전했다. 현재 아납은 약 51.6 BTC를 보유 중이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9..전일比 1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보다 1포인트 내린 19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56...탐욕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4포인트 내린 56을 기록했다. 탐욕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4월 30일 코인니스 마켓 브리핑

4월 30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0.79% 내린 $94,256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100 코인 중 24시간 상승률 TOP3는 LAYER(+9.59%) XMR(+5.13%) FARTCOIN(+1.91%)다.

BTC $94,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94,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93,985.8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