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뉴스브리핑] 아비트럼, 입찰 기반 트랜잭션 처리 '타임부스트' 도입 外

| 강수빈 기자

아비트럼, 입찰식 트랜잭션 주문 정책 도입

아비트럼(ARB)이 새로운 트랜잭션 주문 정책 타임부스트(Timeboost)가 아비트럼 원과 아비트럼 노바에 도입됐다고 전했다. 현재 아비트럼 트랜잭션은 선착순으로 받는데, 타임부스트가 도입되면 입찰을 통해 빠르게 트랜잭션을 포함시킬 수 있다. 경매 수익금(ETH나 ARB)은 아비트럼 DAO 트레저리로 전달된다.

갤럭시 리서치, 솔라나 신규 거버넌스 투표 시스템 제안...인플레 감축 목표

갤럭시 리서치가 솔라나(SOL) 인플레이션 감축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 투표 시스템을 제안했다고 크립토슬레이트가 전했다. 이번 제안은 MESA 메커니즘 도입이 골자로, 밸리데이터가 여러 디플레이션율 선택지에 투표할 수 있도록 한 뒤 각자의 지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갤럭시 리서치는 "해당 제안은 커뮤니티 투표에 기반해 인플레이션율을 낮추자는 취지로, SOL의 최종 인플레이션율 목표인 1.5%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고 설명했다. 매체는 "올해 들어 솔라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해 거래 수수료 50% 소각을 중단하는 SIMD-96 제안이 통과되면서 네트워크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30.5%에 달했다"고 부연했다.

분석 "BTC 대형 고래들 매집세 뚜렷"

BTC 대형 고래들이 뚜렷한 매집세로 시장을 주도 중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래스노드는 X를 통해 "1만 BTC 이상 보유한 고래들은 매집 추세 스코어 0.7 정도를 유지하며 계속해서 시장을 주도 중이다. 해당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강한 매수세를 나타낸다. 1~100 BTC를 보유한 투자자의 매도세도 최근 들어 완화되고 있다. 특히 10~100 BTC 보유 투자자의 매집 추세 스코어는 중간값인 0.5 안팎으로, 향후 매수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소닉랩스, $555만 S 바이낸스 입금

소닉랩스(전 팬텀) 추정 주소가 약 6시간 전 1,178만 S(555만 달러)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고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지난 일주일 동안 1.5만 BTC 거래소 출금

지난 한 주 동안 15,000 BTC 이상이 거래소에서 출금됐다고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트레이더인 알리 마르티네즈가 전했다.

분석 "올해 암호화폐 러그풀 발생 건수↓ 피해 규모↑"

올해 암호화폐 러그풀 발생 건수가 전년 대비 줄었지만, 피해 규모는 오히려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데이터 플랫폼 댑레이더(RADAR) 보고서를 인용 "올해 암호화폐 러그풀 발생 건수는 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건) 대비 66% 감소했다. 반면 전체 피해액은 60억 달러로 전년(9,000만 달러) 대비 급격히 늘었다. 러그풀 피해 사례는 줄어들고 있으나 영향은 훨씬 치명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1분기 러그풀이 주로 디파이, NFT, 밈코인 섹터에서 발생한 반면 올해는 피해가 밈코인에 집중됐다"고 부연했다.

킬로엑스 해커, $140만 반환

킬로엑스(KILO) 공격자로 라벨링된 주소가 140만 달러를 반환했다고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실드가 전했다. 킬로엑스는 지난 15일 700만 달러 규모 해킹 피해를 입은 바 있다.

토카막 네트워크, 톤 스테이킹 V2 출시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가 기존 TON 스테이킹 메커니즘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톤 스테이킹 V2를 출시했다. 톤 스테이킹 V2는 토카막 레이어2 솔루션 운영자에게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어2 네트워크 시퀀서에게 TON 코인 발행으로 얻는 이익인 시뇨리지(seignorage)를 지급한다. 이를 통해 △레이어2 운영 활성화 △생태계 성장 지원 △탈중앙화 강화를 목표로 한다.

'내전 피해' 예멘서 디파이 활용↑...금융서비스 우회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랩스(TRM Labs)가 보고서를 통해 "내전을 겪고 있는 예멘에서 시민들의 디파이 사용이 크게 늘어났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예멘은 금융지식이 낮고 인터넷 인프라가 열악해 암호화폐 활용도가 매우 낮은 곳 중 하나였다. 하지만 현지 금융 서비스가 사실상 마비되다 보니 이를 우회할 금융서비스로 디파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예멘의 암호화폐 관련 웹 트래픽의 63%는 디파이와 관련돼 있고, 중앙화 거래소와 관련된 트래픽은 18%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만트라 CEO, 팀 보유 OM 소각 방식 커뮤니티 투표 진행

만트라(OM) CEO 존 멀린이 자신의 X를 통해 팀이 보유한 OM 소각 방식에 대한 설문 투표를 시작했다. 설문에는 △즉시 전량 소각 △락업 기간 연 단위 연장 △커뮤니티 멀티시그 월렛으로 이전 △마일스톤 달성에 따라 언락 등 네 가지 방안이 포함됐다. 앞서 존 멀린은 OM 폭락 사태와 관련 바이백, 소각 계획을 수립하는 초기 단계에 있다고 언급했으며, 팀 물량인 3억 OM 중 자신이 보유한 77.2만 OM을 소각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위믹스, 2,000만 WEMIX 2차 바이백 예정

위믹스(WEMIX)가 2,000만 WEMIX 규모의 2차 바이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빗썸, WEMIX 거래유의종목 지정 연장

빗썸이 위믹스(WEMIX)를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회원사들에 의해 거래유의종목 지정 연장됐다고 공지했다.

돌로마이트, 4/24 자체 토큰 DOLO TGE 진행

아비트럼 기반 마진 트레이딩 프로토콜 돌로마이트(Dolomite)가 X를 통해 오는 24일(현지시간) 자체 토큰 DOLO에 대한 TGE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코인니스 나이트 라이브 - 엣지X편 요약

지난 4월 17일 코인니스 나이트 라이브 시즌 3 제6회 엣지X편이 진행됐다. 다음은 KF(Head of Product)의 주요 답변. 엣지X는 고성능 이더리움 레이어2, 퍼프덱스(Perp DEX), 온체인 전략 볼트를 통합한 디파이 플랫폼이다. 퍼프덱스는 아직 CEX보다 점유율이 낮지만, 탈중앙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100배 이상 성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엣지X는 성능, 사용성, 리스크 관리를 갖춘 제품으로 온체인 금융 시스템을 현실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비트겟, 도지데이 기념 142만 DOGE 에어드롭

비트겟이 '도지 데이'를 기념해 이달 18일 21시(한국시간)부터 25일 9시 59분까지 총 142만 DOGE 에어드롭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 먼저 프로모션 기간 동안 거래량 목표를 달성한 사용자에게 88만 DOGE를 차등 지급하며, 1 USDT 이상 거래한 신규 가입자에게는 12만 DOGE가 제공된다. 또한, 4월 20일 하루 동안 1,000 USDT 이상 거래한 사용자에게는 42만 DOGE가 보상으로 주어진다.

비트겟, WCT 온체인 스테이킹 출시 '연이율 4.78%'

비트겟이 온체인 언(Earn) 스테이킹에 WCT를 추가했다고 공식 채널을 통해 공지했다. 해당 토큰을 보유한 비트겟 사용자는 온체인 언 메뉴에서 이 토큰을 예치 및 스테이킹해 연 4.78%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바이낸스, 알파에 EPT 추가...무기한 선물도 상장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4월 21일 21시(한국시간) 바이낸스 알파에 EPT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아울러 1시간 뒤인 21일 22시에는 EPT/USDT 무기한 선물이 바이낸스에 상장된다. 최대 레버리지는 20배를 지원한다.

바이낸스 월렛, 다음 TGE 프로젝트 로렌조프로토콜

바이낸스 월렛이 X를 통해 오는 18일 18시(한국시간)부터 1시간 동안 로렌조 프로토콜(BANK) TGE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신세틱스 설립자 X 계정명 'kain.depeg'로 변경

신세틱스(SNX) 설립자 케인 워윅이 X 계정명을 카이닷디페그(kai.depeg)로 변경했다. 지난달 말부터 신세틱스 기반 스테이블코인 sUSD에서 디페깅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sUSD는 0.67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 4/24 BTG·LUNC 출금 일시중단

업비트가 월렛 시스템 점검으로 오는 24일 23시부터 BTG, LUNC 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67% / 숏 49.33%

1.바이낸스: 롱 51.12% / 숏 48.88%

2.OKX: 롱 50.42% / 숏 49.58%

3.바이비트: 롱 49.96% / 숏 50.04%

LOOM 김치프리미엄 120% 이상

업비트에서 룸네트워크(LOOM)가 46.52원에 거래되면서 글로벌 시세와 120% 이상 가격 차이가 나고 있다. 달러 환산 시 LOOM은 업비트에선 $0.0325에, MEXC, 게이트아이오 등에선 $0.0149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