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로엑스, 볼트 해킹으로 플랫폼 이용 중단
킬로엑스(KILO)가 볼트 해킹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킬로엑스는 X를 통해 "현재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은 차단됐으며, 팀은 즉시 플랫폼 이용을 중단했다. 보안 파트너들과 협력해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곧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 생태계 파트너들과 협력해 자금 회수 및 추가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블록체인 분석업체 사이버 얼럿(Cyvers Alerts)은 킬로엑스(KiloEx)와 관련된 해킹 피해 정황을 포착, 약 700만 달러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했다.
갤럭시디지털, $2537만 ETH·USDT 바이낸스 입금
암호화폐 전문 금융 서비스 기업 갤럭시디지털 추정 주소가 약 4시간 전 12,500 ETH(2,037만 달러)와 500만 USDT를 바이낸스로 입금했다고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3615만, 청산 비율: 롱 58.06%
ETH 청산 규모: $5271만, 청산 비율: 롱 57.03%
OM 청산 규모: $2298만, 청산 비율: 롱 58.09%
비트파이넥스 BTC 롱 포지션, 숏 대비 220배↑
비트파이넥스에서 BTC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보다 약 220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알프랙탈 CEO 조아오 웨드슨(Joao Wedson)은 X를 통해 "비트파이넥스에서 롱 포지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테더(USDT)를 직접 발행하는 해당 거래소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인지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분석 "美 재무부, 2월 이후 $5000억 유동성 공급...BTC에 호재"
미국 재무부가 지난 2월부터 5,000억 달러 규모 유동성을 금융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코인텔레그래프는 "미 재무부가 일반계정(TGA)을 통해 5,000억 달러 유동성을 공급하며 정부 운영 자금을 충당해왔다. TGA 잔고는 8,420억 달러에서 현재 3,420억 달러로 줄어들었다. 이 같은 감소는 정부 자금이 실물 경제로 유입되면서 시장 내 현금 유동성이 확대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세금 회수로 인해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축소될 수 있으나 5월부터 다시 유동성 공급이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유명 매크로 전략 투자자 린 앨든(Lyn Alden) 연구를 인용해 "비트코인은 최근 12개월간 글로벌 유동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왔다. 2022~2023년 TGA를 통한 유동성 공급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투기성 자산 가격 상승에 기여했으며, 올 2분기와 3분기 추가 공급분까지 반영될 경우 BTC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전세계 기업, 1Q 95,431 BTC 매입
전세계 기업들이 지난 1분기 동안 총 95,431 BTC를 매입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비트와이즈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전 분기 대비 16.11% 증가한 수치다. 이들의 보유량은 총 688,000 BTC로, 전체 공급량의 3.28%에 해당한다. 1분기 말 보유량 기준 1위는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518,185 BTC), 2위는 마라홀딩스(47,531 BTC), 3위는 라이엇플랫폼(19,223 BTC)이다.
1분기 이더리움 댑 수수료 수익 $10억
지난 1분기 이더리움 기반 댑(Dapp) 수수료 수익이 1분기 10억 달러를 기록했다. 토큰 터미널에 따르면 해당 기간 이더리움 댑 수수료 수익은 10억 1,400만 달러로, 2위인 코인베이스 자체 레이어2 베이스(BASE) 댑 수익(1억 9,300만 달러)에 비해 9배 많았다. 이외에 BNB 체인이 1억7,000만 달러, 아비트럼(ARB)은 7,380만 달러, 아발란체(AVAX)는 2,768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 암호화폐 자문위원장 "관세 수익으로 비트코인 매입할 수도"
백악관 암호화폐 대통령 자문위원회 위원장 보 하인스(Bo Hines)가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수익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폼프 인베스트먼트 설립자 앤서니 폼플리아노가 백악관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코인베이스 프라임, 코인 49종 커스터디 지원 종료
코인베이스 프라임이 이달 말 암호화폐 49종에 대한 커스터디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BTC 현물 ETF 8거래일 만에 순유입 전환...21억원
트레이더T에 따르면 4월 14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146만 달러(약 21억원)가 순유입됐다. 7거래일 연속 순유출에서 8거래일 만에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블랙록 IBIT에서 3,671만 달러가 순유입된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 3,525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日 의료기업 SBC메디컬, 5 BTC 매수
일본 의료기업 SBC메디컬그룹이 5 BTC를 매수했다고 글로벌뉴스와이어가 전했다. 지난 2월 SBC메디컬은 10억엔(670만 달러) 규모 비트코인 매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비트겟 온체인, PPPP·MUTUMBO 상장
비트겟이 공식 채널을 통해 비트겟 온체인에 PPPP, MUTUMBO을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온체인은 모바일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 별도의 웹3 지갑 없이 온체인 자산 거래를 지원한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5...전일과 동일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일과 같은 15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8...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7포인트 오른 38을 기록했다. 투심이 소폭 개선됐으나 공포 단계를 지속하고 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4월 15일 코인니스 마켓 브리핑
4월 15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0.99% 오른 $84,591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100 코인 중 24시간 상승률 TOP3는 FARTCOIN(+13.62%) KAS(+7.74%) XMR(+5.78%)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