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뉴스브리핑] 만트라(OM) 토큰 급락 사태, 강제 청산·시장 조작 의혹 확산 外

| 강수빈 기자

5개 익명 주소, 만트라 급락 3일 전부터 $1.43억 OM OKX 입금

만트라(OM) 급락 전 익명 5개 주소가 3일 동안 2,440만 OM(1.43억 달러 상당)를 OKX에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 너드가 전했다. 해당 주소 중 하나는 일본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의 암호화폐 투자 자회사인 레이저디지털로 확인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OM은 24시간 전 대비 86.94% 내린 0.82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팔콘엑스 핫월렛, 6시간 동안 $2,073만 OM 거래소 입금

암호화폐 거래소 팔콘엑스 핫월렛으로 라벨링된 주소가 지난 6시간 동안 바이낸스, OKX에 3,300만 OM(2,073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실드가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OM은 지난 24시간 동안 86.21% 내린 0.866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만트라 CEO "OM 급락, 팀과 무관... 대규모 청산 이유 파악 중"

실물자산(RWA)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만트라(OM) 가격 급락에 대해 JP멀린 만트라 CEO가 입장을 밝혔다. 그는 X를 통해 "OM 급락은 대규모 강제 청산으로 인해 발생했다. 우리는 이러한 대규모 강제 청산 이유를 파악 중이다. 만트라 텔레그램은 삭제되지 않았다. 우리는 도망가지 않았으며, 팀 물량은 여전히 보관 중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OM 토큰은 6.3 달러에서 0.5 달러 이하로 급락했으며, 시가총액(시총)이 90% 이상 증발했다. 이후 커뮤니티에서는 러그풀(먹튀) 우려가 확산된 바 있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OM은 1.04 달러에 거래 중이다.

만트라 "OM 급락, 거래소 강제청산이 원인...시장조작 가능성"

실물자산(RWA)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만트라(OM)가 블로그를 통해 "간밤에 발생했던 OM 급락 사태는 복수의 중앙화 거래소가 무분별하게 강제청산을 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거래소 측은 사전 경고 없이 유동성이 낮은 일요일 저녁(현지시간) 강제청산을 진행했다. 이것이 단순 실수인지, 의도적인 시장 조작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트라 팀과 어드바이저, 투자자들은 할당받은 OM 토큰을 매도하지 않았고, 이 물량은 여전히 락업 상태다. 모든 월렛 주소는 공개돼 있기 때문에 누구나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곧 커뮤니티 미팅을 열어 자세한 내용을 공유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OM은 토큰 가격이 급락하면서 시가총액이 90% 이상 증발했다. 이를 두고 커뮤니티에서는 러그풀(먹튀), 마켓메이킹 알고리즘 오류, 해킹 등을 의심하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자오창펑 "거래소 상장 프로세스 철폐해야"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 겸 전 CEO가 OM 토큰 급락과 관련해 "내러티브를 쫓으면 안 된다. 기본 원칙과 사용자, 매출, 이익 등을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판단해야 한다. 아울러 중앙화 거래소는 더 이상 자체 상장 프로세스를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투자자들이 거래할 상품을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익명 고래, 크라켄에 $3,240만 ETH 입금

익명 고래 주소(0x7f15로 시작)가 크라켄에 2만 ETH(3,240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스팟온체인이 전했다. 해당 주소는 30,874 ETH(5,070만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며, 추정되는 수익은 총 1.04억 달러다.

이번 주 토큰 언락 일정...$3.3억 TRUMP 등

드롭스탭(dropstab)에 따르면, 이번 주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WLD: 4/15 09:00, 약 502만개 언락, $372만, 총 유통량의 0.40%

STRK: 4/15 21:00, 약 1.28억개 언락, $1597만, 총 유통량의 4.41%

ARB: 4/16 09:00, 약 9365만개 언락, $2818만, 총 유통량의 2.03%

VANA: 4/16 09:00, 약 124만개 언락, $657만, 총 유통량의 4.14%

PRCL: 4/16 09:00, 약 1.61억개 언락, $959만, 총 유통량의 58.88%

DBR: 4/17 09:00, 약 12.3억개 언락, $2783만, 총 유통량의 68.38%

APE: 4/17 15:00, 약 1538만개 언락, $652만, 총 유통량의 2.04%

UXLINK: 4/18 09:00, 약 3333만개 언락, $1624만, 총 유통량의 9.86%

IMX: 4/18 14:00, 약 2731만개 언락, $1128만, 총 유통량의 1.52%

TRUMP: 4/18 15:00, 약 4000만개 언락, $3.3억, 총 유통량의 20%

ZKJ: 4/19 09:00, 약 1550만개 언락, $3508만, 총 유통량의 25.66%

XDAO: 4/20 09:00, 약 644만개 언락, $3.32억, 총 유통량의 25.29%

이더리움 재단, ETH 간소화 로드맵 공개

이더리움 재단 공동이사 토마시 스타츠착(Tomasz Stańczak)이 간소화된 이더리움 로드맵을 공개했다고 우블록체인이 전했다. 해당 로드맵은 블롭 확장, 레이어1 성능 향상, 사용자 경험(UX) 개선을 골자로 하며 △실물자산(RWA) 및 스테이블코인 지원 △보안 및 커뮤니케이션 개선 △목표 지향적 연구개발(R&D) 장려 등을 포함한다.

나스닥 상장사 재노버, $500만 SOL 매입

나스닥 상장사 재노버(JNVR)가 500만 달러 상당의 SOL을 추가 매입했다고 전했다. 현재 재노버는 960만 달러 상당의 SOL을 보유 중이다. 재노버는 지난 7일 주요 자산으로 SOL을 채택한 바 있다.

포필러스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활성화, 상호운용성 필수적”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최근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그 이점이 분명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블록체인 생태계에 어떻게 활용되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기에 상호 운용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라고 전했다.

페이코인 크립토 마스터카드 4/30 출시

페이코인(PCI)으로 실물결제가 가능한 직불카드가 마스터카드 브랜드로 출시된다고 아시아경제가 전했다. PayProtocol AG는 스위스 소재 네오뱅크인 SR Saphirstein AG와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30일 '페이코인 크립토 마스터카드'를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카드는 이용자의 페이코인(PCI)을 담아 결제하는 방식이며, ETH, USDC 등도 지원할 예정이다.

비트겟, 4/14 KERNEL 이노베이션존 상장

비트겟이 오는14일 21시(한국시간) 이노베이션, LSD, 디파이 존에 KERNEL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원, KERNEL 상장

코인원이 14일 원화마켓에 커널 다오(KERNEL)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늘 8시, 출금은 10시 오픈된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4/15 0100 FOMC 바킨 연설, 0700 FOMC 하커 연설, 0840 FOMC 보스틱 연설

-4/16 0035 FOMC 바킨 연설, 0810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4/17 0215 미 연준 의장 제롬 파월 연설, 1000 한국 금리, 2130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2215 유로존 금리결정

-4/18 미국 증시 휴장(부활절), 0045 미 연준 부의장 마이클 바 연설

-4/19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연설

美 전자제품 관세 혼란에...트럼프 "전자제품 면제 아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후퇴가 없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은 기존 20%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밝혔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1...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4포인트 내린 31을 기록했다. 투심이 악화되며 공포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15...전날과 동일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과 같은 15를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4월 14일 코인니스 마켓 브리핑

4월 14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1.75% 내린 $83,760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 TOP100 코인 중 24시간 상승률 TOP3는 FLR(+5.20%) PI(+3.96%) TRX(+3.37%)다.

CME BTC 선물 $290 갭 발생

전 거래일 $84,055에 마감했던 CME BTC 선물이 오늘 $83,765로 시작하면서 $290 상당의 갭이 발생했다.

BTC $85,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5,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85,095.2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