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이더리움 ‘퀀텀’, 서울 밋업 성황리 개최

| Roina Shin 기자

중국판 이더리움이라 불리는 ‘퀀텀’이 23일 저녁 8시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에서 밋업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250여 명의 투자자와 관련업계 종사자들이 참가했다.

패트릭 다이(Patrick Dai) 퀀텀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올해 더 많은 디앱(DApp)을 퀀텀으로 끌어들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다양한 산업군 개발자 500~1,000만 명을 퀀텀 생태계로 끌어들일 것”이라며 “몇 달 동안 테스트 및 개발에 주로 힘썼지만 이제부터는 열심히 홍보도 진행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개발자 원빈 종(Wenbin Zhong)은 두 번째 연사로 나섰다. 그는 도입부에서 “현재 유용한 디앱이 별로 없기 때문에 유저도 별로 없는 것”이라며 차세대 킬러 앱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퀀텀 블록체인’이 어떻게 기존 스마트 컨트랙트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원빈은 “퀀텀 가상머신 ‘x86’은 멀티 랭귀지, 멀티 툴 체계”라며 “x86이라는 이름에서 보듯 우리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흡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x86은 본래 인텔의 프로세스 칩으로, 전 세계 PC의 70% 가량이 x86을 탑재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퀀텀 x86은 그만큼 넓은 호환성과 다양한 고객층을 지닌 표준 블록체인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긴 이름인 셈이다.

세 번째 연사로는 퀀텀 수석 엔지니어 호워드 예(Howard Ye)가 나와 퀀텀 x86이 어떻게 개발자들의 고충을 덜어줄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했다.

호워드는 “퀀텀 가상머신은 C, C++, 자바, 러스 등을 지원한다”며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의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여 접근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퀀텀 가상머신은 개발자들이 기존에 배운 언어를 그대로 사용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할 수 있다”며 개발에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가져다줄 것임을 강조했다.

퀀텀은 이날 퀀텀 x86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등을 시연하고 추첨 행사도 진행했다. 컴퓨터 랜덤 추첨을 통해 선정된 세 명의 참가자들은 각각 100, 500, 1,000개의 퀀텀 코인에 당첨되는 행운을 누렸다.

마지막 발표 시간에 개발자 쭹이(Zhengyi)는 퀀텀의 향후 로드맵을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퀀텀은 ▲6월에 개발 및 테스트 마무리, ▲7월 중 베타 버전과 테스트넷 출시, ▲8월에 'QtumX'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신예진 기자 roina@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