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규제 초안 발표 '소비자 보호와 산업 성장 동시에'

| 이준한 기자

영국 정부가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디지털 자산 부문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법안 초안을 발표했다.

29일(현지시간)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레이첼 리브스(Rachel Reeves) 영국 재무장관이 영국 핀테크 위크의 일환으로 런던에서 열린 핀테크 정상회담 연설에서 이 규제안을 공개했다.

이 법안은 거래소, 딜러, 보관소를 포함한 암호자산 서비스를 전통적인 금융 규제 범위 내로 포함시킬 예정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자산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투명성, 소비자 보호, 운영 복원력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사기를 방지하고, 소비자 위험을 줄이며, 합법적인 혁신을 위한 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를 희망한다. 영국에서 암호화폐 소유는 최근 몇 년간 크게 증가했다. 금융행위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의 연구에 따르면, 영국 성인의 12%가 현재 암호자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이전에 보유한 적이 있으며, 이는 2021년 4%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이러한 증가하는 채택은 암호화폐 기업들의 사기와 실패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취약해지는 등 위험도 증가했다.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영국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들이 전통 금융에서와 같은 규제 기준을 준수하도록 보장할 것이다.

리브스 장관은 "변화를 위한 계획을 통해 우리는 영국을 혁신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좋은 곳이자 소비자들에게 가장 안전한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암호화폐에 대한 강력한 규칙은 투자자 신뢰를 높이고, 핀테크의 성장을 지원하며, 영국 전역의 사람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법안 초안은 2023년 영국 재무부의 협의를 따른 것으로, 당시 광범위한 암호화폐 관련 활동을 금융 규제 범위 내로 가져오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정부는 산업 이해관계자들의 피드백을 받은 후 "가장 빠른 기회에" 최종 법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규제 추진과 함께 영국은 디지털 자산에 관한 국제 협력도 추진하고 있다. 리브스 장관은 양국 기업들이 조율된 감독 하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는 디지털 증권에 대한 국경 간 샌드박스를 미국과 함께 탐색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SEC 위원 헤스터 피어스(Hester Peirce)가 처음 제안한 이 제안은 향후 영국-미국 금융규제작업그룹을 통해 더 자세히 탐색될 예정이다. 리브스 장관은 최근 워싱턴에서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핀테크와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대서양 간 협력 기회를 논의했다.

영국 정부는 7월 15일 첫 번째 금융 서비스 성장 및 경쟁력 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며, 핀테크를 장기 발전을 위한 핵심 부문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최종 암호자산 법안은 현재 초안에 대한 업계 의견 수렴 후 도입될 예정이다.

더 넓은 암호화폐 감독 강화의 일환으로 영국은 3월 27일 범죄 및 경찰법안을 도입하여 범죄 활동과 연관된 디지털 자산을 압수할 수 있는 법 집행 기관의 권한을 확대했다. 현재 하원에서 두 번째 독회 중인 이 법안은 형사법원의 몰수 권한을 강화하고 판매할 수 없거나 파괴된 암호화폐를 처리하는 더 명확한 규칙을 제안한다.

이는 2023년 경제범죄 및 기업투명성법을 기반으로 하며, 2024년 12월 FCA의 펌프닷펀(Pump.fun) 접근 차단과 같은 일련의 집행 조치를 따르는 것이다. 2024년 초부터 영국 당국은 불법 수익과 연관된 암호화폐 6백만 파운드를 동결했으며, 이 중 150만 파운드는 단일 코인베이스 지갑에 보관돼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