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6일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 전략비축제도와 미국 디지털자산 비축 제도를 수립했다. 이는 디지털 자산을 미국 금융 체계에 통합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된다.
현재 비축제도는 형사 및 민사 몰수 사건을 통해 확보한 비트코인만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더 큰 변화의 시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예측 시장 플랫폼 칼시는 현재 전면적인 국가 비트코인 비축제도 도입 가능성을 50%로 전망하고 있다. 이 비축제도는 몰수 자산 외의 비트코인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암호화폐로도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요한 것은 칼시의 계약 조건에 따르면 단순한 발표가 아닌 완전히 기능하는 운영 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시장 분위기도 최근 몇 달 사이 크게 변화했다. 칼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초 57.2%였던 도입 확률은 1월 9일 41.2%까지 하락했다가, 트럼프의 행정명령 이후인 3월 6일 70.6%까지 치솟았다. 4월 22일 현재는 5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암호화폐 정책 타임라인을 보면, 2024년 7월 대선 캠페인에서 비트코인 비축제도 계획을 발표했고, 11월 대통령 당선 후 친암호화폐 성향의 내각 구성을 약속했다. 12월에는 폴 애트킨스를 SEC 의장으로 지명했으며, 2025년 1월 SEC를 통해 암호화폐 규제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3월에는 비트코인 전략비축제도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만약 트럼프가 전면적인 국가 비트코인 비축제도를 시행한다면, 이는 미국 경제 정책의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비트코인을 단순한 금융 자산이 아닌 전략적 자산으로 격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발전은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투자자 신뢰를 높이고, 규제 명확성과 기관 투자 참여를 가속화하며, 글로벌 디지털 금융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계획의 실행 방식, 정치적 합의, 다른 국가들의 반응 등이 향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