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분석 플랫폼 스타트업 데이터이쿠(Dataiku)가 기업용 AI 에이전트 관리 기능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며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에 나섰다. 데이터이쿠는 24일(현지시간) 대규모 에이전트 구축과 통합 관리를 지원하는 ‘AI Agents with Dataiku’를 선보이며, AI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들을 발표했다.
AI Agents with Dataiku는 비기술 사용자를 위한 시각적 에이전트 개발 도구와, 개발자를 위한 코드 기반 도구를 동일 플랫폼 내에서 제공함으로써 부서 간 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관리와 유연성을 놓치지 않는다. 이 에이전트들은 조직 내 모든 데이터 원본과 예측 모델, 운영 워크플로와 연결되며, 업무 중요 자산처럼 신뢰성과 가시성 기준에 맞춰 엄격히 관리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업들이 AI 에이전트를 무분별하게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맥상을 해결하려는 의지도 돋보인다. 각기 다른 수준의 품질과 보안, 통제를 갖춘 에이전트들이 사내 곳곳에 무분별하게 배치되면 IT 팀의 관리 부담이 커지고 오히려 혼란을 키울 수 있다. 데이터이쿠는 이를 막기 위해 중앙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자 플랫폼에 ‘LLM 메시’ 아키텍처를 도입해 다양한 대형 언어모델(LLM) 제공자—from 오픈AI(OpenAI), 앤스로픽(Anthropic)부터 리마(Llama) 같은 오픈소스 모델까지—와의 연동을 통합 관리한다.
보안과 규정 준수 측면에서 ‘데이터이쿠 세이프가드(Dataiku Safe Guard)’ 기능도 함께 제공돼, 정보보호 부서가 에이전트의 행위 범위를 세부적으로 조율할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 커넥트(Agent Connect)’ 기능은 여러 개의 에이전트를 중앙에서 통제하고, 사용자 요청을 하나 또는 여러 에이전트에 분산시킴으로써 유연한 에이전트 운용을 가능케 한다.
운용 이후의 성능 모니터링도 철저하다. 데이터이쿠는 ‘트레이스 익스플로러(Trace Explorer)’를 통해 에이전트의 결정 흐름을 추적하고, 디버깅 과정을 투명하게 만든다. 여기에 더해 ‘퀄리티 가드(Quality Guard)’ 기능은 LLM을 심판으로 삼아 응답의 품질을 평가하도록 설계됐다.
경영진을 위한 전략 도구도 포함됐다. 새로운 생성형 AI 등록소(AI Registry)는 에이전트의 위험도와 비즈니스 기여도를 사전 검토하고, 실제 업무에 투입되기 전 이를 승인할 수 있는 체계적 수단을 제공한다. 기업 전략에 맞게 에이전트를 배치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
데이터이쿠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플로리앙 두에토(Florian Douetteau)는 “AI 에이전트가 실험 단계를 벗어나 운영 환경에 본격 투입되면서, 조직은 마구잡이식 구축보다 중앙 제어를, 정체된 시스템보다 지속적 성능 최적화를 추구하게 된다”며 “IT 자산 기반의 완전한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이 기술 빚을 줄이는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기능은 AWS 베드락,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제미니를 포함한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구현 가능하며, 기업은 자체 호스팅 혹은 퍼블릭 클라우드 중 원하는 인프라를 선택해 AI 에이전트를 통합할 수 있다. 이로써 데이터이쿠는 AI 에이전트의 개발·배포·운영 전주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며, 기업용 AI 시장에 또 하나의 강력한 솔루션을 추가하게 됐다.